행정중심복합도시, BRT 우선신호체계 도입

  • 내년 7월께 시험 운행 계획

행복도시 BRT 운영 노선도. [자료제공 =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아주경제 권경렬 기자= 행정중심복합도시에 BRT(간선급행버스체계) 활성화 및 정시성 확보를 위해 우선신호체계가 도입된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행복도시 BRT 우선신호체계 도입을 위한 LH의 연구용역을 올해 안으로 완료하고 시스템을 구축해 내년 7월께 시험 운행할 계획이라고 22일 밝혔다.

BRT 우선신호체계는 BRT 차량이 교차로에 진입 시 우선 통과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시스템으로 신호대기가 없는 입체교차로 같은 효과를 가져 옴에 따라 BRT의 정시성 확보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BRT는 전용차로와 요금정보시스템·환승터미널·도착정보시스템 등 지하철도의 시스템을 버스에 적용해 '땅 위의 지하철'로 불리는 행복도시의 주요 교통수단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효과를 극대화하는 대중교통수단이다.

지난 4월 정식 개통한 행복도시 BRT는 오송~세종~대전 유성 구간을 운행 중이며, 잔여구간에 대한 공사를 오는 2015년까지 완료할 예정이다.

이병창 행복청 교통계획과장은 "행복도시는 BRT 우선신호체계 도입으로 정시성 확보를 통한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는 물론 KTX 오송역과 대전지하철 등 주변도시와의 접근이 편리한 대중교통 중심의 도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