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서울시가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뉴타운 재개발분야를 평가한 것으로 올해 1월1일부터 지난 9월30일까지 △뉴타운·재개발 실태조사 △공공관리 추진 △주민참여형 재생사업 등 총 3개 분야의 성과를 대상으로 했다고 구는 설명했다.
구에 따르면 뉴타운·재개발 실태조사 분야는 △주민설명회 개최실적 △주민의견청취 참여율 △주민협의체 구성 및 운영실적 △실태조사 건수 등이 포함되며 공공관리 추진분야는 △클린업시스템 정보공개 모니터링 수행도 △공공관리제도에 따른 주민선거 실시 건수 △부정행위 단속반 구성 및 건수 등을 평가했다.
또 주민참여형 재생사업 분야는 △대상지(후보지) 신청 실적 △주민의견수렴 실적 △전담조직 구성 및 인력확보 △학생공모전 참여실적 △주민운영위원회 구성 실적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했다.
구는 뉴타운, 재개발구역이 67개로 전국 최대이며 이중 46%인 31개 구역이 실태조사를 신청했다. 이는 서울시 전체 실태조사 구역의 25%에 해당된다.
구는 지난 3월부터 ‘뉴타운·재개발 실태조사 척척박사 콜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이 콜센터는 경험이 풍부한 전문 인력이 상주하며 실태조사에 관한 모든 궁금증을 전화 상담을 통해 해소하며 매월 ‘실태조사 정보마당’을 발행해 실태조사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장위뉴타운은 지난 6월부터 지역 내 주민 접근이 양호한 장위중앙교회에서 주민들이 실태조사 결과를 충분히 인지할 수 있도록 매주 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오전 10시에서 오후 6시까지 실태조사관과 구청 실무담당관이 직접상담을 실시하고 있다.
또 구는 해제 구역에 대해서도 기존 전면 철거방식에서 탈피해 원주민이 보호되고 커뮤니티가 살아있는 다양한 도시 재생계획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단독 및 다세대 주택 등이 밀집한 저층주거지는 공공이 사업시행자가 돼 기반시설, 편익시설 그리고 보안·방범시설을 새로이 설치ㆍ확대하고 토지 등 소유자는 스스로 주택을 개량하는 주거환경관리사업과 노후 불량건축물이 밀집한 가로구역에서 종전의 가로를 유지하면서 소규모로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가로주택정비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김영배 성북구청장은 “뉴타운·재개발 정비사업 수습대책 추진 분야 최우수구 선정은 뉴타운, 재개발구역이 전국 최대라는 어려운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지속적이며 다양한 노력을 펼친 결과”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