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에 따르면, 현재 도내 거주 중인 북한이탈주민은 총 931명(2013. 11. 13기준)으로 최근 5년 사이 두 배 이상 증가했으나 사회적 편견과 문화적 차이 등으로 인해 경제적 자립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북한이탈주민 중 여성과 청소년의 비중은 80% 이상으로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정책지원과 지역별 고른 서비스 제공에서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도는 한겨레 지역주민의 통합과 상호신뢰를 목표로 ▲지역사회 적응·자립 ▲남북한 주민화합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 ▲민관 협력체계 구축 등 4개 분야 12개 과제의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정책을 수립·추진한다.
세부적으로 지역사회 적응·자립 분야는 ▲지역적응센터 추가 설치 및 운영활성화 ▲북한이탈주민 사회적기업 육성 ▲북한이탈주민 공무원 채용 ▲정신건강 관리 프로그램 운영 등 4개 과제를 추진한다.
남북한 주민화합 분야로는 ▲자원봉사단 운영 ▲이북5도민과 함께하는 남북가족 자매결연 ▲찾아가는 통일교실 운영 등이 추진된다.
또 청소년의 건강한 적응 분야로는 ▲학교밖 청소년 학업지원 ▲지역 대학생과 1:1 멘토링 ▲청소년 역량강화 캠프가 추진되며 민관협력 체계구축 분야로는 ▲지역협의회 운영 활성화 ▲실무협의회 구성·운영 등이 추진된다.
도는 이같은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을 위해 13일 도청 소회의실에서 지역 내 기관단체 간 협력체계 강화를 위한 정책협의체인 북한이탈주민 지역협의회를 열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
북한이탈주민 지역협의회는 대전지방고용노동청, 충남교육청 및 경찰청 등 유관기관을 비롯해 학계, 언론계, 사회단체 대표 14명으로 구성된 협의체로, 도와 북한이탈주민 100인 이상이 거주하는 천안, 아산, 서산시에 설치돼 운영 중이다.
송석두 행정부지사는 “북한이탈주민의 성공적 정착은 가장 의미 있는 통일 준비”라며 “도 차원의 정착지원 활성화 대책 추진을 통하여 북한이탈주민이 책임감 있는 지역공동체 일원으로 성장해나가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