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3/11/13/20131113170300730903.jpg)
이수경 기자
홍 위원은 지난해부터 최근까지 약 2년간 무수한 하마평에 오른 인물이다. 신용보증기금 이사장, 여신금융협회 회장,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에 생명보험협회 회장직 등 차기 최고경영자(CEO) 자리에 여러 번 이름이 거론되다 드디어 캠코 수장으로 낙점된 것이다.
지난 7일 3년의 임기가 만료된 장영철 전 캠코 사장은 지난해 공공기관 경영평가 중 기관장 평가에서 A등급을 받았다. 경영평가는 B등급이었으나 감사평가는 A등급을 받아 전반적으로 우수한 성적을 받았다.
게다가 정부의 핵심 사업인 국민행복기금 업무 수행으로 올 상반기까지 장 사장은 연임 인사로 꼽혀 왔다. 그럼에도 결국 물러나게 된 이유는 기금 업무에 대한 불공정한 간섭이다. 하지만 사실상 모피아의 자리 획득에 밀려난 게 아니냐는 얘기도 조심스럽게 나온다.
홍 위원은 옛 재무부와 재정경제부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는 이른바 '모피아(재무부와 마피아의 합성어)' 출신이다. 앞서 KB금융과 농협금융지주의 회장으로 오른 임영록, 임종룡 회장도 모두 모피아다.
'신의 직장'이라 불리는 금융공기업은 이러한 낙하산 인사의 온상으로 자주 언급된다. 이미 취임한 최경수 한국거래소 이사장도 전 재정경제부 국제심판원장 출신이다.
모피아 출신 인사들의 업무능력은 차치하더라도 이들의 득세는 '관치금융'의 우려를 키운다. 정부의 의지와 입맛에 따라 금융산업이 휘둘릴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2년 전 저축은행 부실 사태가 불거졌을 때 금융감독원 출신 감사들의 부실 감독이 논란을 빚은 바 있다. 모피아 출신 인사들이 금융권 곳곳에 포진하는 것도 이와 다르지 않다. 금융산업이 한 걸음 더 나아가기 위해서는 CEO 선임 기준부터 공정하게 세워야 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