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3/11/18/20131118105040566152.jpg)
윤의수 본부장
기술은 국내 기술 자립을 위한 핵심 원천설계기술로 세계 최고 수준의 국내 독자모델 설계를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원자로냉각재펌프(RCP)는 원자로 내의 핵연료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해 고온·고압의 물로 이뤄진 냉각재를 순환시키는 원자로 1차 계통의 기계로 원전 플랜트에서 심장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이다.
냉각재 펌프가 고장 나지 않는다면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같은 대형 사고는 발생하지 않는다.
윤의수 박사 연구팀이 개발한 RCP의 수력설계기술은 수력부품인 임펠러와 케이싱 설계로, 그동안 기계연에서 축적한 특수용도 펌프설계기법 및 첨단 전산유동해석기법을 적용한 기계연만의 독자적 기술이다.
국내 개발한 RCP 모형 시험 결과 원전건설에서 요구되는 모든 성능요건을 만족했고 외국 제품보다 효율 면에서 우위로 나타나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을 달성한 것으로 평가된다.
연구팀은 산업통상자원부 지원 연구사업 및 두산중공업과의 산연협력을 통해 원자로냉각재펌프 수력성능시험기법을 독자적으로 개발해 국제규격에 부합하면서 세계 최고 수준의 정밀도를 갖는 펌프 완전특성 시험 설비를 구축했다.
APR 1400용 원자로 냉각재 펌프의 국내 독자 모델 설계를 시작으로 차세대 토종 원자로인 APR 1500용 냉각재펌프의 수력설계 및 성능시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도 했다.
연구책임자인 윤의수 박사는 “플랜트 핵심 기자재의 경우, 외국기술 도입 후 설계기술 자립까지는 보통 20년이 걸리는데 기계연과 두산중공업의 협력연구로 5년 만에 기술자립을 달성할 수 있었다”며 “이번 기술 개발로 향후 국내에서 개발되는 원자로의 모든 냉각재펌프는 완전히 국내 설계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그동안 해외기술에 의존해 왔던 RCP 기술을 국산화하게 되면 원전 2기를 기준으로 약 1350억원의 수입 대체 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상되고 2020년 약 25조원으로 추정되는 원전 플랜트 기자재 세계 시장을 석권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