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3/11/19/20131119083951138671.jpg)
중성자 바이오 회절장치
미래창조과학부는 한국원자력연구원과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공동으로 단백질 등 바이오 물질의 3차원 입체구조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중성자 바이오 회절장치를 구축했다고 19일 밝혔다.
장치는 미래부 원자력연구개발사업으로 2010년 5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 장치를 개발·설치한 후 1년 이상 최적화와 초기실험을 거쳐 이날 한국원자력연구원장과 한국생명공학연구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한국원자력연구원 하나로동에서 준공식을 개최했다.
중성자 바이오 회절장치는 X-선으로는 분석이 어려운 거대 분자 내 수소원자 위치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첨단 연구시설로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호주에 이어 세계 6번째로 완성됐다.
이 중 미국, 독일, 호주는 최근 가동을 시작한 단계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연구용 원자로인 하나로 내에 설치된 이 장치는 신약 및 바이오 신소재 개발 등 생명과학 연구에 필수적인 핵심 인프라로 하나로에서 생성되는 중성자를 이용해 시료의 고분해능 회절 이미지를 중성자 영상판으로 검출한다.
중성자 단색기, 차폐 시설 및 중성자 영상판 등으로 구성돼 있는 장치는 지난 2011년 3월 한국생명과학연구원과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상호 협력협약을 맺고 공동 개발한 출연연간 협업의 산물로 내년부터 국내 산학연 이용자에 개방돼 원자력과 생명공학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장치를 이용하면 단백질 등 바이오 물질의 수소 원자 및 화합물 구조를 포함하는 물질의 입체구조 분석이 가능해져 구조기반 신약개발에 필요한 핵심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구조기반 신약개발은 질병을 일으키는 단백질 구조를 파악하고 적합한 디자인을 통해 치료약을 만드는 방법을 의미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