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하는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지역주민은 의사를 통한 전문 상담서비스를 추가적으로 받을 수 있고 평소에 자기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시범사업의 가장 큰 특징은 의원급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환자가 의사를 통해 충분한 상담과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마련한다는 점이다.
의사가 진료할 때 환자의 평소 건강관리 내용을 잘 파악해 상담할 수 있도록 환자의 평소 건강관리 상황을 점검해 의사에게 보고하는 일차의료지원센터(가칭)에 간호사, 영양사 등 전문인력을 배치하고 의원급 의료기관의 의사는 이같은 지원을 토대로 환자에게 전문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함께 일차의료센터를 통해 지역사회의 금연클리닉, 영양체험프로그램, 환자자조모임, 운동프로그램 등 환자가 원하는 다양한 지역사회 건강서비스를 연계 제공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의원급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지역주민들은 의사를 통해 충분한 상담서비스를 제공받게 되고 평소 자기 건강관리를 위한 지원도 지역사회에서 일차의료기관을 통해 쉽게 받을 수 있다는 것이 복지부 측의 설명이다.
정부는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의사에게는 추가적인 상담서비스 제공에 대해 건강보험 재정으로 보상하고 환자의 평소 건강관리를 지원하는 일차의료지원센터의 운영비(11억원)를 지원할 계획이다.
또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의사, 지자체 등에 대한 세부적인 지원과 사업평가를 위해 의료계가 참여하는 지원단을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서비스 제공 대상은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의원급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만성질환을 가진 지역주민이다.
일차의료지원센터의 운영은 지역 의사회 또는 참여 의료기관이 구성한 법인 등이 직접 운영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시범사업 지역이 내년 1월 공식적으로 결정되면 내년 4월 센터를 열고 7월부터는 본격적인 서비스가 이뤄질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