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 국내 금융권에서도 빅데이터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9일 한국금융연수원에서 열린 '금융권의 수익성 제고를 위한 빅데이터의 활용' 세미나에서 함유근 건국대학교 경영대 교수는 "금융권의 빅데이터의 잠재가치와 활용기회는 더욱 높아질 것"이라며 "기존의 방식으로는 관리와 분석이 매우 어려워지고 있어 빅데이터의 획득, 분류, 저장 및 분석을 위한 인력과 조직 및 관련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권의 빅데이터는 고객 리스크 모델, 고객 맞춤화 및 상품 추천, 사기 및 자금세탁의 실시간 감지ㆍ대응, 시장위험 예측, 자산 포트폴리오 가치측정 등에서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차량 이동거리 등의 데이터를 분석해 보험 가입 고객에게 할인 옵션을 제공하고 고객의 행태 개선을 유도하는 보험 서비스도 등장했다.
국내의 경우 우선 은행은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우려로 주로 시장분석, 평판분석에 이를 활용했다. 그러던 것이 점차 영역을 넓혀가는 추세다.
국내 보험업의 경우 빅데이터를 보험사기 분석이나 신규 고객발굴에 활용중이며, 증권분야에서는 비정형데이터를 분석해 주가 예측에 활용한다.
또한 카드사들은 이용자들의 소비행태를 분석해 신상품 개발 및 시장분석에 활용하거나 이상 결제패턴을 검출해 부정사용을 사전에 예측하는 데 빅데이터를 이용하고 있다. 회원들의 결제정보를 통한 상권 분석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현대카드의 '마이 메뉴'나 삼성카드의 '엠포켓' 앱이 대표적 사례다.
그러나 이러한 활용도는 여전히 미흡한 수준이라는 게 함 교수의 지적이다.
함 교수는 국내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데 있어 △개인정보 보호 우려 △자료수집 부족, 협업부서와 전산/정보부서 간 괴리로 인한 데이터 단절 △역량 축적으로 이어지지 않는 소모적 데이터 활용 △단기성과 위주의 경영 등을 장애물로 꼽았다. 이를 극복해야만 빅데이터 활용이 활성화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그는 이어 "최근 외부 빅데이터 소스들을 결합해 새로운 금융상품과 서비스를 개발하는 경쟁도 시작되고 있으므로 금융회사들은 타 산업과의 데이터 융합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