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단독> 정부, 2014년 ‘고용계약형 정보보호 학사 과정’ 개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12-11 14:2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산업계 즉시 활용가능 인력양성 기대 … 대학내 시큐리티연구센터도 지원

아주경제 장윤정 기자 =정부가 2014년 대학 정보보호학과들과의 연결 고리를 강화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내년에 학계의 오랜 숙원이었던 고용계약형 정보보호 학사과정 개설 및 사이버시큐리티연구소 지정 등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 10일 코엑스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개최된 ‘한국정보보호학회 송년의 밤’ 행사에서 이같이 2014년 학계를 지원할 방안을 발표했다.

오승곤 미래부 정보보호정책과장은 “정보보호대학의 인력 양성을 지원하기 위해 현재 고용계약형 석사과정 운영을 확대해 학부까지 늘릴 것”이라며 “현재 7개 국내 정보보호대학 학부과정을 포함해 산업계에 바로 인력공급이 가능한 고용계약형 정보보호학부 과정 개설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또한 늘어나는 스미싱 등 악성코드에 대응하기 위해 대학을 중심으로 사이버시큐리티연구소를 지정할 것”이라며 “한국인터넷진흥원과 협의해 대학의 연구 기능 강화에 힘쓰겠다”고 덧붙였다.

이같은 정부 지원 계획 발표에 학계는 환영한다는 입장이다.

그간 국내 대학들은 정보보호학과 개설을 적극 추진해왔지만 정해진 전체 대학 정원에 가로막혀 개설 허가를 받기가 쉽지 않았다.

하지만 고용 계약형 학과는 정원 외 선발이 가능하다. 때문에 기존 정보보호학과를 운영중인 대학이나 개설을 고려하고 있는 대학 모두 큰 도움이 된다는 해석이다.

지난해 개설돼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고려대 사이버국방학과 등이 그 대표적인 사례다. 고려대 사이버국방학과는 국방부와 연계된 고용계약형 보안학과다.

박춘식 서울여자대학교 정보보호학과 교수는 “석박사는 고급형 인재지만 중소기업이 더 많은 국내 보안업계 현실상 석사과정보다 학사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이 기업 고용이 약속된 고용계약형 과정에 더 적합하다”라며 “청년 실업 해소에도 장기적으로 유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염흥열 순천향대학교 정보보호학과 교수는 “정부가 고용계약형 학사과정에 예산을 어느정도 투입할지 확실하지 않지만 학생 일인당 1200만원의 학비가 든다고 가정할 때 만만치 않은 예산이 투입된다”며 “원하는 학교는 많고 예산은 한정된 만큼 정부가 제대로 된 원칙을 세우고 면밀한 조사를 통해 지원을 수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