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A는 정보통신기술사 등 미래창조과학부 소관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국가기술자격 16종목과 전파법에 의한 무선통신사 8종목 등 24종목에 대한 자격검정을 시행하고 있는 가운데 올해 2만7000명에 대한 자격검정을 시행해 전년도 대비 12%의 응시자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자격별로는 정보통신기술사 21명 등 기사·산업기사·기능사급의 국가기술자격자 6260명과 항공무선통신사 등 무선종사자 자격자 1만3282명 등을 배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KCA는 시험 문제 출제위원에 현장 전문가 참여비율을 확대해 자격시험이 산업 현장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자격자에 대한 KBS 공채시험 가산점 도입 확대 등과 같이 활용가치를 높이기 위한 사후관리 측면에서도 노력을 해왔다.
김명룡 KCA 원장은 “앞으로도 KCA는 ICT 국가기술자격 전문기관으로 창조경제를 견인할 현장실무 중심의 ICT 산업인력 양성은 물론 자격자의 취업지원을 위한 다양한 인턴쉽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 사후관리 방안을 마련해 국가기술자격자가 더욱 더 사회에서 우대받을 수 있도록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내년에도 KCA는 23개 종목 대상 4차례 정기검정 등을 시행할 예정으로 제1회 정기검정은 3월 9일 실시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