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경제 권경렬 기자 = 주택 임차시장의 구조적 변화로 고소득층의 주거형태는 전세, 저소득층은 반전세의 비중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수도권내 66개 시·군·구 중에서 5년간 반전세 비중이 감소한 지역은 8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는 등 반전세 유형이 크게 증가했다.
19일 주택산업연구원이 발표한 '보증부월세가구 증가지역의 특성'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전세가구의 반전세 전환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전세 증가는 전셋값 수준이 높거나 매매가 상승폭이 낮은 지역에서 더욱 빠른 속도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지난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서울·수도권에서 자가로 거주하는 가구 감소와 함께 반전세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자가 거주 가구 비율이 증가한 지역은 서울·수도권 시·군·구 66곳 중 8곳에 불과했다.
이 기간 반전세 가구 증가폭이 큰 지역은 김포(8.3%포인트)·오산(8.3%포인트)·관악구(8.1%포인트)·광진구(6.4%포인트)·인천 남동구(6.2%포인트) 등이다.
김리영 주산연 책임연구원은 "반전세 가구 비율이 크게 증가한 지역의 특징은 2005년 기준 전세 거주 비중이 더 높았던 지역과 주택공급이 증가해 천명당 주택수가 증가한 지역"이라며 "버스 등 대중교통 분담률이 높은 지역에서 반전세 가구 증가 폭이 크고 거주 비중도 높았다"고 설명했다.
지역 특성을 고려해 보면 높은 전셋값 등 주거비 부담이 높은 지역에서 반전세로 전환되거나, 기대되는 매매차익이 줄어든 지역에서 반전세 가구 증가가 크게 나타난 것으로 풀이된다.
또 고소득층의 전세 거주 증가와 저소득층의 반전세화가 빠르게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 주거실태조사에 따르면 평균 월소득 586만원인 소득 9~10분위 고소득층 가구 중에서 자가로 거주하는 가구 비중은 2006년 64.71%에서 2012년 58.67%로 6.04%포인트 낮아졌지만, 전세로 거주하는 가구는 6.24%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평균 월소득 123만원인 소득 1~4분위 저소득층은 2006년부터 2012년 까지 보증부월세로 거주하는 가구 비율이 26.5%에서 35.3%로 10%포인트 증가했고, 전세로 거주하는 가구 비중은 10%포인트 감소했다.
또 전세로 거주하던 가구가 반전세나 월세로 이사한 경우 직장까지 통근하는 시간이 2006년 24.9분에서 2010년 36.6분으로 11.7분 증가했다. 월세나 반전세로 이사한 가구는 직장에서 더 먼 지역으로 이사한 셈이다.
김 연구원은 "전세에서 반전세나 월세로 전환되는 것은 사회경제적 변화가 반영된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며 "그러나 빠르게 반전세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저소득층의 주거안정을 저해할 수 있어 세밀한 모니터링을 통한 주거안정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고소득층의 전세 거주가 크게 증가했다는 점에서 고소득층 전세가구의 매매시장 참여를 유도해 임차시장의 안정과 주택시장 회복을 유인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