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공관장회의 참석차 귀국해 서울에 체류 중인 이 대사는 이날 기자들과 간담회를 연 자리에서 "일본 정치지도자들도 속내는 비슷하다. '(위안부 문제를) 한번 짚고 넘어가자'는 것이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병기 주일대사<자료사진>
그는 청와대가 언급한 것처럼 4월 중순에 국장급 회의가 개최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결실을 맺도록 할 것"이라면서 "맞춰 나가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 대사는 현재 한일 관계에 대한 질문에 "양국은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서 함께 나아가야 할 동반자로 양국 간에 서로 이익을 공유하고 있음에도 여러 가지로 실현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면서 "한일관계 문제는 저 사람들(망언하는 일본 정치인 등)의 역사적인 수정주의, 역사를 바꾸려고 하는 역사인식, 과거사에 대한 충분한 반성과 책임을 느끼지 않는 데서 오는 신뢰관계 훼손에서 비롯됐다"고 지적했다.
이 대사는 하지만 "고노 담화를 수정하지 않겠다는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약속, 한미일 정상회담의 개최 등 다소 종전보다는 긍정적인 분위기가 시작은 됐다"고 평가하면서 "앞으로 정부, 민간, 공공외교 이런 부분을 통해 일본의 잘못된 생각을 바로 잡아가겠다"고 강조했다.
최근 주변국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일본의 집단자위권 추구 논의에 대해서는 "일본 여론조사를 보면 집단자위권에 대한 반대의견이 더 많다"면서 "우리는 일본의 집단자위권에 대해서 예민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우리도 안보태세가 돼 있어, 우리 동의 없이 한반도에 오는 것은 안 된다"고 자위권행사의 선을 분명히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