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세 장쩌민 손자, 사모펀드업계 떠오르는 별"

장즈청의 대학시절 여자친구로 알려져 있으며, 상하이여행홍보대사를 역임했던 후산산.(사진/투수어상하이)



아주경제 베이징특파원 조용성 기자 = 장쩌민(江澤民) 전 중국 국가주석의 손자가 사모펀드업계의 별로 떠오르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10일 전했다. 

1986년생인 장즈청(江志成)은 장쩌민 전 주석의 아들인 장몐헝(江绵恒)의 아들이다. 상하이 교통대학을 나왔으며 하버드대학에서 유학했다. 영어 이름 '앨빈 장(Alvin Jiang)'으로 알려진 장즈청은 2010년 하버드대를 졸업한 뒤 골드만삭스에서 일하다 9개월 만에 사직하고 핑안(平安)그룹 총경리였던 장즈신(張子欣) 등과 함께 사모펀드인 보위(博裕) 캐피털을 설립했다. 

보위는 설립 1년 만인 2011년 중국의 선라이즈(日上) 면세점의 지분 40%를 8000만 달러(한화 약 850억원)에 인수했다. 선라이즈는 베이징(北京) 국제공항과 상하이 국제공항의 모든 면세점을 운영하는 회사로, 보위는 당시 선라이즈의 가치를 2억 달러로 산정했다. 하지만 선라이즈는 현재 장부상 가치가 8억 달러로 상승했다. 이대로 따진다면 보위는 3년 만에 4배의 수익을 올린 셈이다. 그리고 보위는 이미 배당금을 통해 투자금을 대부분 회수했다. 하지만 선라이즈의 실제가치는 이보다도 훨씬 더 크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실제 중화망은 무디스의 평가를 인용해 2011년 선라이즈 면세점의 매출액을 6억7000만달러였다고 전했다. 

로이터통신은 선라이즈의 창립자인 미국 국적의 화교 프레드 장과 장즈청의 할아버지 장쩌민과의 인연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1999년 장쩌민은 국가 주석으로 재임할 당시 처음으로 중국 상하이(上海) 푸둥(浦東) 공항의 면세점 사업을 외국 기업에도 개방했다. 이때 프레드 장은 전혀 면세점 사업 경력이 없었지만 10년간의 담배와 술 면세 사업권을 따냈다. 프레드 장은 장쩌민이 상하이 서기였던 1986년 상하이의 자매도시였던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자매도시 위원회 부주석을 맡으면서 장쩌민과 알게 됐으며, 이후 장 전 주석 일가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온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로이터통신은 보위가 이 밖에도 상장을 앞둔 인터넷 회사 알리바바와 은행의 부실채권 매입회사인 신다(信達) 자산관리 등에 투자했다면서 이들 회사가 상장하면 보위가 큰 수익을 거둘 것으로 예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