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협의에는 우리측에서는 이상덕 외교부 동북아 국장이, 일본측에서 이하라 준이치 외무성 아시아ㆍ대양주 국장이 각각 참석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국장급 협의 의제는 우리의 요구대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국한돼 양국이 집중 조율을 거쳐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합의점을 찾을 수 있을 지 관심이 집중된다.
우리 정부는 이번 협의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 법적 해결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와 배상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일본은 줄곧 '위안부 문제는 1965년 청구권 협정으로 법적으로 해결됐으며 끝난 사안'이라는 입장을 주장하고 있어 이번 협의에서도 이견을 좁히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양국은 지난달 네덜란드에서 열린 한미일 3국 정상회담에 앞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 논의를 위한 국장급 협의 개최 방침에 의견을 모았지만 군 위안부 문제만을 논의하자는 우리 정부의 입장과 북한 문제 및 독도 영유권 문제 등 다른 현안도 국장급 협의에서 함께 다루자는 일본의 입장에서 대립이 있었다.
외교부는 이날 위안부 협의 개최 사실 외에 "한일 외교 당국 간 실무급에서 국장급, 차관급에 이르기까지 각급에서 협의를 활성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특히 이번 국장급 협의 의제는 우리의 요구대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국한돼 양국이 집중 조율을 거쳐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합의점을 찾을 수 있을 지 관심이 집중된다.
우리 정부는 이번 협의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 법적 해결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와 배상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일본은 줄곧 '위안부 문제는 1965년 청구권 협정으로 법적으로 해결됐으며 끝난 사안'이라는 입장을 주장하고 있어 이번 협의에서도 이견을 좁히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양국은 지난달 네덜란드에서 열린 한미일 3국 정상회담에 앞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 논의를 위한 국장급 협의 개최 방침에 의견을 모았지만 군 위안부 문제만을 논의하자는 우리 정부의 입장과 북한 문제 및 독도 영유권 문제 등 다른 현안도 국장급 협의에서 함께 다루자는 일본의 입장에서 대립이 있었다.
외교부는 이날 위안부 협의 개최 사실 외에 "한일 외교 당국 간 실무급에서 국장급, 차관급에 이르기까지 각급에서 협의를 활성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