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전서비스 전용앱 이용 절차
아주경제 강승훈 기자 = 서울시가 공원, 미술관 등에서 휴대용 충전기 무료로 대여해주는 '모바일 충전서비스'를 오는 22일부터 시작한다.
공공기관을 찾은 시민들이 스마트폰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충전공간을 찾아 헤매는 등 불편이 없도록 하기 위한 조치다.
별도 마련된 공간에 스마트폰을 맡겨놓아야 했던 기존의 고정식 충전서비스와 다르다. 휴대용 충전기를 가지고 다니면서 충전할 수 있어 더 편리해진 서비스를 제공한다.
충전 속도는 기존 방식보다 1.5배 정도 빠르다. 케이블과 젠더만 교체하면 모델에 관계 없이 국내 출시된 모든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다.
우선 보급되는 공공기관 24개소는 △서울대공원, 보라매공원 등 공원 5개소 △시립미술관, 역사박물관 등 문화시설 10개소 △서울의료원 등 의료시설 3개소 △서울시청 신청사 △서울도서관 △은평학습장 △안전체험관 2개소 △소방학교 등이다. 각 기관의 수요조사를 거쳐 결정됐다.
이들 공공기관은 작품 설명이나 각종 안내 등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동시에 방전 부담이 있는 곳이다.
각 기관별로 30~100대씩 비치하게 된다. 안내데스크, 방문자센터 등 지정된 장소에서 대여가 이뤄진다.
지난해 시범 운영시에 신분증을 받고 충전기를 대여했으나 올해부터 전용앱(119pack)을 이용, 최소한의 개인정보(성명, 전화번호)만 입력하면 된다.
이용시민은 전용 앱을 설치한 후 대여장소에서 QR코드를 인식해 본인이 있는 장소를 골라 신청하면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