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가계대출, 증가규모 반토막…주택거래 둔화·소비심리 위축 때문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6-11 12: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 은행권 가계대출의 증가 규모가 소폭 축소됐다. 그러나 증가세는 넉 달째 지속됐다. 

1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4년 5월중 금융시장 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의 가계대출은 전월보다 1조2000억원 증가한 526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주택금융공사의 보금자리론, 적격대출 및 은행 대출채권 양도 등 모기지론 양도를 포함(기존 양도분 상환액 차감)한 것이다.

지난 1월 2조2000억원 감소했던 은행 가계대출은 2월 1조3000억원, 3월 3000억원, 4월 2조1000억원에 이어 지난달까지 넉 달째 증가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지난달 증가폭은 2조1000억원 증가했던 전월에 비하면 반토막이 났다. 주택담보대출과 마이너스통장대출 등의 증가 규모가 모두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5월 중 주택담보대출은 375조6000억원으로 전월보다 1조3000억원 증가했다. 한승철 한은 금융시장팀 차장은 "주택거래 둔화 등의 영향으로 전월(1조7000억원)보다 증가규모가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서울지역의 아파트 거래량은 3월 9500호에서 4월 8500호, 5월 6000호로 점차 규모가 줄었다.

마이너스통장대출 등은 전월보다 1000억원 감소한 150조원으로 집계됐다. 4월 5000억원 증가했다가 한 달만에 다시 줄어든 것이다. 세월호 침몰 사고의 여파 등으로 소비심리가 위축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한은은 분석했다. 4월 108을 기록했던 소비자심리지수는 5월 105로 떨어졌다.

이 기간 기업대출(원화 기준)은 전월보다 6조원 증가한 656조1000억원이었다. 9조6000억원 늘었던 전월보다는 규모가 축소됐다.

대기업 대출은 전월보다 2조2000억원 증가한 잔액은 165조1000억원이었다. 분기 말 일시상환분 재취급 등 특이요인이 소멸되면서 전월(5조9000억원)보다 증가 폭이 축소됐다.

중소기업대출은 은행의 완화적 대출태도 등으로 3조7000억원 증가한 491조원으로 집계됐다. 증가규모는 전월과 동일했다.

개인사업자대출은 전월대비 1조6000억원 증가한 197조원이었다.

지난달 은행 수신은 1199조7000억원으로 전월보다 무려 13조9000억원 증가했다.

수시입출식예금이 법인 결제성자금의 대규모 유입과 5월말 휴일에 따른 대출상환 수요가 다음달 초로 이연되면서 11조3000억원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수시입출식 예금의 잔액은 377조6000억원이다.

정기예금도 일부 은행의 예대율 관리를 위한 자금유치 노력 등으로 3조6000억원 증가한 559조5000억원을 기록했다.

한편 지난 4월 시중통화량을 뜻하는 광의통화(M2·평균잔액)는 전년동월대비 5.5% 증가한 1972조4000억원이었다. 전월(5.5%)과 동일한 증가율이다.

한은은 "국외부문 통화공급이 외국인 직·간접투자를 중심으로 전년동월에 비해 둔화된 반면 민간신용이 기업대출을 중심으로 확대됐다"면서 "5월중 M2증가율은 전월과 비슷한 5%대 중반일 것"이라고 추정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