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병장 '열외기수' 의혹 [사진 출처=YTN 방송 영상 캡처]
23일 국민일보는 국방부 관계자의 발언을 인용하며 사건 발생일인 21일 이 부대의 경계작전명령서를 근거로 "임 병장과 한 조를 이뤄 초소 근무를 했던 병사가 병장이었고 현장에서 부상당했다"고 보도했다.
군에서는 상하로 계급을 나눠 한 조를 편성해 근무를 서는 것이 통상적인 근무방식이다. 임 병장이 같은 계급인 병장과 함께 근무를 섰다는 사실은 임 병장이 사실상 병장 이하의 대접을 받았다는 해석이 나올 수 있어 사건 원인을 파악하는 데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육군에 따르면 통상적인 경계근무 방식은 '병장-일병', '상병-이병' 식으로 상하 계급 1명씩이 한 조를 이룬다. 근무가 위계질서에 따라 안전하게 이뤄질 수 있게 하기 위해서다. 그런데 임 병장은 김 모 병장과 한 조를 이뤄 자기 계급에 걸맞은 대우를 받지 못했던 것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된다. 군 일각에서는 임 병장이 '계급 열외' '왕따' 등을 당했을 가능성이 거론돼 왔다.
한편 임 병장은 23일 자해 시도 직전 쓴 유서에서 '선임과 후임들로부터 인정을 못 받고 따돌림을 당해 부대 생활이 힘들었다'고 쓴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