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이언주 의원실]
2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이언주 의원이 한국감정원으로부터 제출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같은 건물의 반지하나 2층 이상의 상가의 경우 1층과 비교했을 때 시장거래가격이 낮은데 비해 과도한 세금을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원은 지난 2009년과 2010년 비주거용 부동산 가격공시를 위한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지난해 층별효용표를 작성하는 연구용역을 수행한 바 있다.
서울 중구 장충동 한 빌딩의 경우 시장거래 조사가격인 산정가격이 450만원인 1층 상가의 과세표준액은 170만원으로 조사됐다. 같은 빌딩의 지하상가는 산정가격이 이보다 적은 265만원이지만 과세표준액은 150만원으로 1층과 큰 차이가 없었다.
이언주 의원은 “비주거용 부동산의 과세표준액이 현실의 시장거래 관행을 반영하지 못해 동일 건물 내 층간과 지역별 형평성의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재 수도권과 광역시에서 3000㎡ 이상 상가와 오피스텔은 제한적으로 시장거래가격을 반영한 기준시가로 과세를 하고 있다”며 “하지만 확대 실시가 더뎌 지역 간 과세형평에도 맞지 않는 과세가 이뤄져 비주거용 가격공시제도가 조속히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