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국내 시청자들은 본 방송 방영 후 일주일 내 해당 방송 콘텐츠 주문형비디오(VOD)를 가장 많이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는 22일 전국 IPTV·케이블TV사업자가 지난 10월 송출한 10개 채널의 42개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본 방송 후 30일 간 일자별 VOD 시청시간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방통위에 따르면, 본 방송 후 일주일 내 해당 방송 콘텐츠 VoD를 시청하는 시간이 30일 간 이용시간 가운데 46%를 차지했다.
이 가운데 하루 뒤 시청은 6022만분(17.3%)으로 가장 많았다. 당일과 2일 후는 각각 1644만분(4.7%), 2485만분(7.1%)으로 3일 후 시청은 1518만분(4.4%)로 집계됐다.
주간 누적비율은 일주일 내 46.0%, 이주일 내 60.4%, 삼주일 내 73.1%로 파악됐다.
장르별로 살펴보면 예능 프로그램은 본 방송 후 하루 뒤 최고치를 기록하고 하락세를 지속하다 일주일 후, 삼주일 후에 이용시간이 다시 증가했다.
이는 VoD 소비량이 가장 많은 예능 프로그램은 지상파 방송이 21일 후, 종합편성방송채널사용사업자(종편PP)가 7일 후 무료로 전환하는 것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됐다.
드라마는 3일 내 집중적으로 소비되는 형태를 보였고 교양 프로그램은 특별한 변화가 없었다.
방통위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시청점유율 제도를 개선하는 데 참고하기 위해 진행됐다”며 “방통위가 운영하는 ‘N스크린 시청기록조사 민관협의회’가 VoD 시청 합산 기간을 논의할 때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22일 전국 IPTV·케이블TV사업자가 지난 10월 송출한 10개 채널의 42개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본 방송 후 30일 간 일자별 VOD 시청시간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방통위에 따르면, 본 방송 후 일주일 내 해당 방송 콘텐츠 VoD를 시청하는 시간이 30일 간 이용시간 가운데 46%를 차지했다.
이 가운데 하루 뒤 시청은 6022만분(17.3%)으로 가장 많았다. 당일과 2일 후는 각각 1644만분(4.7%), 2485만분(7.1%)으로 3일 후 시청은 1518만분(4.4%)로 집계됐다.
장르별로 살펴보면 예능 프로그램은 본 방송 후 하루 뒤 최고치를 기록하고 하락세를 지속하다 일주일 후, 삼주일 후에 이용시간이 다시 증가했다.
이는 VoD 소비량이 가장 많은 예능 프로그램은 지상파 방송이 21일 후, 종합편성방송채널사용사업자(종편PP)가 7일 후 무료로 전환하는 것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됐다.
드라마는 3일 내 집중적으로 소비되는 형태를 보였고 교양 프로그램은 특별한 변화가 없었다.
방통위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시청점유율 제도를 개선하는 데 참고하기 위해 진행됐다”며 “방통위가 운영하는 ‘N스크린 시청기록조사 민관협의회’가 VoD 시청 합산 기간을 논의할 때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