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
영화 ‘경성학교: 사라진 소녀들’(감독 이해영·제작 청년필름) 개봉을 앞두고 아주경제는 지난 15일 박보영을 만났다. “영화 속 주란이 그렇게 사랑스러울 수 없더라”는 칭찬에 “많은 분의 노고가 녹아 있다”며 쑥스러운 듯 웃는다.
“감독님을 비롯해 분장팀, 카메라 감독님까지 ‘예쁜 앵글’을 찾으려고 엄청 고생하셨어요. 그냥 넘어간 장면이 없을 정도예요. 뭘 하나 찍더라도 저쪽에서 분장팀이 ‘잠깐만요, 잠깐만요’, ‘안돼, 안돼’ 하면서 촬영을 막아요(웃음). 제 귀밑머리며 입술 색깔까지 일일이 신경 쓰셨어요.”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
“사실 시나리오 읽을 땐 이렇게 예쁠 거라고 생각을 못 했어요. 그런데 세트장에서 깜짝 놀란 거 있죠. 우리끼리 ‘제작비의 많은 부분을 여기에 썼나봐’라며 감탄하곤 했어요. 공들인 태가 나더라고요. 감독님도 미술에 조예가 깊으시거든요. 프레임 뒤 꽃잎 하나하나까지 신경 쓰시는 분이에요(웃음).”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세트는 소녀들의 비밀공간이에요. 콩가루로 먼지를 만드느라 정말 고생했는데, 저는 그곳이 정말 좋은 거예요. 나중에 그 세트를 부순다고 해서 정말 슬펐어요. 저뿐만 아니라 다른 분들도 다 그랬어요. 그래서 부수기 전에 ‘저기서 뭐라도 하자. 티저라도 찍자’며 해체를 막기도 하고(웃음). 그렇게 세트장 곳곳에서 티저를 찍었어요. ‘정말 다 쓰실 거죠?’라고 물어가면서요.”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
“감정신이 힘들 거라고 생각은 했는데…. 너무 힘든 거죠. 생각보다 더 힘들더라고요(웃음). 1차적으로 표현한다고 나름 한 건데, 보고 나니 표현이 덜 된 거예요. 제가 생각한 감정들이 다 표현돼야 하는데 그게 뜻대로 쉽지는 않더라고요.”
폭발적 감정 연기도 마찬가지였지만, 그보다 더 박보영을 난감하게 했던 건 ‘액션 연기’였다. 맨 몸으로 부딪치고, 물에 빠지며 급기야 와이어를 타고 교실을 날아다녀야 했다.
“지난해 촬영한 거라서 기억이 가물가물해요. 그걸 예상해 ‘인터뷰에서 에피소드를 물어보면 말씀드려야겠다’ 하고 당시에 일기를 쓰곤 했거든요. 일기장을 딱 펼치니 전부 힘들다는 말뿐이더라고요. ‘아침에 일어나 보니 온몸이 두들겨 맞은 것처럼 아팠다’, ‘오늘은 와이어를 탔는데 힘들었다’ 이런 것들이요(웃음). 멀리뛰기 하는 폼이나 와이어를 탔을 때의 자세 같은 걸 연습하느라 힘들었어요.”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
2008년 ‘과속스캔들’ 이후 4년간의 공백이 있었다. 이후 2012년 ‘미확인 동영상: 절대 클릭 금지’로 스크린에 복귀한 뒤 ‘늑대소년’, ‘피 끓는 청춘’과 올해 개봉될 ‘열정 같은 소리하고 있네’, 드라마 ‘오 나의 귀신님’ 등 다수의 작품에 출연하고 있다. 다작에 대해 박보영은 “4년 간의 공백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많은 작품을 해보고 싶어요. 나중에 제가 현실적 부분에 부딪혀서 몸을 사리게 될 것 같아요. 물론 지금 심정으로는 ‘난 안 그럴 거야’라고 생각하지만…. 제가 4년의 공백기가 있었잖아요. 그 시간 동안 작품을 하지 못했던 게 아쉬워요. 그 공백을 채우고 싶은 마음인가 봐요.”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