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는 지난해 12월 4693명을 기초생활수급자로 책정, 생계‧주거‧의료‧교육급여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했고, 일시적 경제 위기에 처한 1254가구에는 긴급복지지원을 통해 생계비‧주거비‧의료비 등으로 8억여원을 지원했다.
또한 사랑의열매 등 민간지원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공적지원기준에 미달한 취약계층 1만 가구에 10만원씩 동절기 연료비를 지급했으며, 저소득가구 학생 600명에게 1인당 35만원 상당의 동복을 지급하는 등 어려운 이웃에게 꼭 필요한 맞춤형 지원을, 시·군 희망복지지원단을 통해 7만5308가구에 각종 민간후원을 연계 지원했다.
한편, 도는 주소득자의 경제력 상실, 질병‧부상, 재해 등으로 위기에 처한 가구의 따뜻한 겨울나기를 위해 오는 2월 29일까지 ‘동절기 복지사각지대 집중 발굴 및 지원기간’으로 지정하고 도내 민‧관 복지행정력을 집중해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저소득 취약 계층을 발굴·지원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아울러 지난해 12월 도입된 ‘복지사각지대 발굴관리 시스템’을 적극 활용해 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단전‧단수‧사회보험료 체납가구 등 고위험 예상가구 분석이 가능해짐에 따라 그동안 개인정보의 제약으로 사각지대 발굴이 어려웠던 한계를 보완해 대상자가 심각한 위기상황에 빠지기 전 선제적으로 발굴해 지원할 수 있게 됐다.
발굴된 취약계층은 우선 일선 시·군의 복지담당자가 현장방문해 대상자와 초기상담 및 현황파악 후 필요한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절차를 밟게 된다.
소득수준에 따라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책정, 긴급복지지원, 차상위대상자 책정 등 공적지원 가능 여부를 먼저 확인한 후, 공적지원 기준에 미달할 경우 각종 민간복지자원을 연계해 필요한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된다.
김종수 도 복지건강국장은 “어려운 이웃이 도움을 요청하기 전에 먼저 찾아갈 수 있는 있는 복지행정을 펼치겠다”라며 “누구라도 도움이 필요한 이웃을 발견하면 읍면동주민센터나 보건복지콜센터(129)로 알려 주길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