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조치는 금융권에 대한 사이버 공격에 이용되는 악성코드를 보다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해 금융회사와 공유하도록 하기 위해 진행됐다.
수집 채널 확대 및 수집방식 개선, 자동화를 통한 분석환경 개선 등이 주요 내용이다. 기존의 소규모 수집채널에 금융부문 통합보안관제시스템 실시간 연계 등 수집 채널을 대폭 확대했다.
이를 통해 금융권으로 유입·유포되는 악성코드를 자동으로 수집하는 등 수집방식을 개선했다.
또 악성코드 수집·분석 체계 강화를 통해 금융권 악성코드 피해 최소화와 악성코드 확산의 조기 차단을 위한 선제적 대응체계를 마련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금융보안원은 금융권 대상의 신·변종 악성코드 분석·대응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금융회사, 정보보호 유관기관 및 정보보호업계와의 협력체계를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허창언 금융보안원장은 “침해사고대응기관으로 금융회사 및 금융소비자가 편리하고 안전하게 전자금융거래를 이용할 수 있도록 악성코드 수집˙분석을 포함한 침해사고의 원인 분석과 신속한 대응 및 피해 확산 방지를 위해 필요한 역할과 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해 나갈 것” 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