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영재 첨단연구 입문 프로그램' KAIST·UNIST·DGIST서 성황리에 종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1-29 16:2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한국과학창의재단 제공]


아주경제 최서윤 기자 =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은 과학영재학교 및 과학고등학교 학생 대상의 '과학영재 첨단연구 입문 프로그램'을 24~29일 과학기술특성화대학교 3개교(KAIST, UNIST, DGIST)에서 운영했다고 29일 밝혔다.

'과학영재 첨단연구 입문 프로그램(pre-URP·pre-Undergraduate Research Participation Program) 예비 학부생 연구 참여 프로그램)'은 과학영재학교 및 과학고등학교와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의 실질적 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올해 처음 시작됐다.

이번 프로그램에는 전국의 과학(예술)영재학교(4개교) 및 과학고등학교(19개교)에서 선발된 대표 학생 118명이 참여했다. 과학기술특성화대학 3개교의 28개 연구실에서 연구소양을 함양하고 첨단과학 연구현장의 실험을 체험하는 시간을 보냈다.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꽃초롱 충북과학고 학생은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실험실에서 대학교수님의 직접 지도와 대학원생 조교 선생님의 도움을 받고 전국 각지의 과학영재들과 부대끼며 첨단연구과제를 체험하는 귀중한 경험이었다"고 말했다.

미래부와 창의재단은 그동안 대학 단계의 과학기술특성화대학과 고교 단계의 과학영재학교의 교육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 대학과정 선이수제 운영, 과학영재 창의연구 및 과학영재 상상실현 과제를 지원해왔다.

대학과정 선이수제(AP·Advanced Placement)는 과학영재학교 또는 과학고등학교에서 대학 수준의 교과목을 선이수하면 과학기술특성화대학 5개교(KAIST·POSTECH·GIST·DGIST·UNIST) 진학 시 취득학점으로 인정하는 제도다. 

과학영재 창의연구(R&E·Research & Education) 과제는 과학 분야 교과 관련 과학영재학생의 심화연구 지원 과제이고, 과학영재 상상실현(I&D·Imagination & Development) 과제는 과학영재의 창의적 아이디어 실현 및 제품개발, 특허출원, 사업화 지원 과제를 말한다. 

미래부와 창의재단은 "올해부터 과학영재들이 과학기술특성화대학 교수들에게 연중 상시 지도를 받는 pre-URP 연계형 과학영재 창의연구(R&E) 과제도 시범 운영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