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위는 성명서에서 민족을 배신한 친일파의 이름과 행적을 기록한 '친일인명사전'이 전북도 각급 학교에 배치되지 않고 있음을 지적하며 관련 예산 편성을 촉구했다. 또한 친일인명사전이 학생들을 위한 역사와 공동체 교육 등에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해 줄 것을 당부했다.

▲친일인명사전[사진제공=전북도의회]
교육위는 성명에서 '친일인명사전'은 36년간 일본 식민 지배의 아픔을 겪은 우리 민족에게 친일파 행적을 기록한 역사적 기록물이자 살아있는 역사 교과서이며, 역사의 보물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박근혜 정권의 역사교과서 국정화와 위안부 문제에 대한 반민족적 대응 등으로 학생들의 역사의식이 왜곡되지 않을까 우려하며, '친일인명사전'의 활용과 역사교과서 보조교제 편성, 공정하고 합리적인 역사교육에 만전을 기해줄 것을 요구했다.
양용모 위원장은 “잘못된 역사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는 친일반민족 행위자들이 저지른 과오를 제대로 알아야 한다”며 “해방 후 친일파들이 나라의 주요 관료와 대학, 법원, 경찰 등의 고위직을 차지하면서 민족정기가 심각하게 왜곡되었다”며 잘못된 역사를 바로잡는 작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한편, 지난 2009년 발간된 '친일인명사전'은 일제의 한반도 침략을 지지·찬양하거나 독립을 방해하고 수탈과 강제동원에 앞장선 것으로 파악된 4,389명의 친일행적을 수록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