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석면노출지역 주민건강영향조사 대폭 확대

아주경제 이채열 기자 =부산시는 3월부터 석면노출지역 주민에 대한 피해자 구제를 위한 주민건강 영향조사를 대폭 확대하여 실시한다고 밝혔다.

석면노출지역 주민건강영향조사는 지난 2009년부터 과거 석면공장인근 주민에 대해 주민무료건강검진 등으로 진행되고 있다. 지난해까지 총 8,597명의 주민에 대해 무료건강 검진을 실시했다.

올해 석면노출지역 주민건강영향조사는 △영도구 제일스레트 공업 등 과거 석면공장지역에서 반경 2Km이내 6개월 이상 거주자 21개 지역 △남구 문현동 돌산마을 등 슬레이트 밀집지역에서 2006년 이전 6개월 이상 거주자 8개 지역 △영도구 삼화조선소 등 수리조선소 인근 학교 및 거주자 5개 지역 등 2,000여 명(추정)에 대하여 실시한다. 지난해 대비 석면공장 7개소, 슬레이트 밀집지역 3개 지역이 확대됐다.

석면은 국제암연구소(IARC)가 지정한 발암물질 1군으로 악성중피종, 폐암, 석면폐증, 흉막비후의 주요 원인으로 부산지역은 항구도시라는 특성상 많은 양의 석면이 수입돼 대규모 공장에서 가공·제조 및 석면이 포함된 슬레이트 지붕의 대량설치, 수리조선소에서 선박 수리 과정 등에서 석면으로부터 직간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받았다. 부산시는 환경부와 함께 환경성 석면 피해자 발굴 및 진단과 석면피해 구제제도를 통한 구제급여를 지원하고 있다.

검진방식은 1차적으로 의료진이 해당 주민자치센터 등에 출장하여 설문조사, 혈액검사, X-선 촬영 등의 검사를 받게 되며, 1차 검사자 중 이상 의심자에 대해 의사진찰, 흉부 CT촬영, 폐기능 검사, 객담검사 등의 검사를 받게 된다.

부산시 관계자는 “앞으로도 과거 석면공장 인근지역에 거주한 주민 및 학생·교직원 등 환경성 석면 노출자에 대한 명단과 현주소를 파악하고, 환경성 노출지역에 대한 건강영향조사를 지속적으로 확대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