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동필 장관[사진=농림축산식품부]
정부가 작물 재배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스마트팜 확산을 위해 전용 모태펀드와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을 조성하고, ICT 기업과 협업을 강화한다.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26일 "스마트팜 보급 속도를 높여 전국으로 확산하고자 '스마트팜 확산 가속화 대책'을 마련해 시행한다"며 "스마트 팜을 통해 한국 농업이 데이터 분석에 기반을 둔 정밀 농업으로 경쟁력을 높여, 수출이 증가하고 농업인이 편리하게 일하며 소득을 올리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스마트팜은 작물 재배에 정보통신기술(ICT)를 접목해 온도와 습도, 일조량 등을 모바일 기기 등으로 제어하는 농장을 말한다.
정부는 이런 애로사항을 반영, 초기 투자여력이 부족한 농업인의 자금 부담을 덜어주고자 민간자본 투자방식을 다양화한다.
올해 500억원 규모 스마트팜 전용 모태펀드를 조성하고, 소규모 일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으로 스마트팜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을 구축한다.
현재 온실과 축사 등 농업용 시설 중심인 스마트팜을 고추·인삼·마늘·대파 등 노지재배, 식물공장 등으로 적용 분야 확장을 추진한다.
농촌진흥청은 스스로 최적 환경 조절이 가능한 생육관리 소프트웨어를 품목별로 개발해 인공지능 환경 제어시스템을 구현할 계획이다.
ICT 기업과도 협업을 강화한다. KT와 SK텔레콤이 스마트팜 상설 교육장 설치, 참여 농가 연간 통신비 지원 등으로 스마트팜 확산에 힘을 모은다.
KT는 스마트팜 수요가 있는 농촌에 스마트팜 상설 교육장 4곳을 만들고,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운영할 계획이다.
또 중소기업과 협력해 스마트팜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힘쓰기로 했다. KT는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팜 통합관제플랫폼과 KT 스마트팜 하드웨어 장비 규격 등을 공개해 중소기업이 원격관제와 에프터서비스(AS), 장비제작 분야에서 조기에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지원한다.
SK텔레콤은 농민이 스마트팜을 조성할 수 있도록 전용 요금제를 마련하고, 연말까지 스마트팜을 세운 가입자에게는 2년간 월정액을 면제해 줄 계획이다.
SK텔레콤은 세종시 연동면에 조성 중인 8264㎡(2500평) 규모의 공동농장을 스마트팜 교육장으로 쓰기로 했다. SK텔레콤은 사물인터넷(IoT) 특화 전용기술인 로라(LoRa)를 적용해 스마트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세종, 성주, 부여, 논산, 함안 지역에서 전용망을 구축한다.
아울러 농식품부는 현재 11곳인 스마트팜 교육장을 올해 20곳으로 늘리고, 현장 지원센터도 8곳에서 10곳으로 확대하는 등 농가 대상 교육과 현장 지원을 강화한다.
특히 한국형 스마트팜 모델을 개발하고, 핵심기기 국산화와 최적 소프트웨어 개발에 2021년까지 1000억원을 투자하는 등 R&D를 통한 스마트팜 산업 성장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지난해 기준 시설원예 농가 1258㏊, 축산 농가 186곳에 보급된 스마트팜을 내년까지 시설원예 농가 4000㏊, 축산 농가 730곳으로 확대한다는 게 목표다.
이동필 장관은 "자유무역협정(FTA) 등 시장개방 확대, 영세한 농지소유 규모, 긴 겨울동안의 농한기, 농업인구의 고령화 등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기술과 자본 집약적인 첨단농업으로 전환이 필요하다"며 "우리나라의 우수한 ICT를 농업현장에 접목한 스마트 팜은 토지와 노동력이 부족한 우리 농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경쟁력을 키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