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국제합작시범구가 들어설 입지로 랴오닝(遼寧)성 다롄(大連)시와 지린(吉林)성 연변조선족자치주가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고 7일 중국 현지 언론들이 보도했다.
우선 다롄은 동북지역 최대의 항만도시다. 2014년 국가급 신구(新區:개발구)로 승인받은 진푸(金普)신구를 갖추고 '일대일로'(一帶一路:육·해상 실크로드) 기점 역할을 맡아 향후 급부상할 전망이다.
대형 항만을 보유한 다롄은 한국 입장에서 동북3성으로 진출하는 관문이면서 한국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어 '경제통로' 건설에 적합한 입지조건을 지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중 국제합작시범구는 지난달 중국 공산당과 국무원이 발표한 '동북지방 등 옛 공업기지 전면진흥에 관한 약간의 의견'(이하 의견)에서 한·중 FTA 발효를 계기로 양국 간 경협 확대를 위해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중국 매체들은 한·중 FTA 발효에 따라 국제합작구 조성을 위한 실무논의에 들어가면 연내로 구체적인 입지가 정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