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 김무성 전 대표, 최경환 의원 등이 24일 오전 시내 모처에서 회동해 '당 정상화' 방안에 전격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경환 의원(오른쪽)과 인사를 나누고 있는 정진석 당선인. [사진=남궁진웅 기자 timeid@]
아주경제 석유선 기자 =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 김무성 전 대표, 최경환 의원 등은 24일 오전 시내 모처에서 회동해 '당 정상화' 방안에 전격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이들은 차기 지도부부터 최고위 중심의 현행 집단지도체제를 당 대표에게 권한을 크게 부여하는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로 전환하기로 합의했다고 여권 핵심 관계자가 전했다.
중립 성향의 정 원내대표가 비박(비박근혜)계의 좌장 격인 김 전 대표, 친박(친박근혜)계의 구심점인 최 의원과의 합의를 이끌어낸 것으로 알려져, 이 같은 방안은 조만간 전국위원회를 통해 확정될 게 확실시된다.
이들 3인방은 전당대회(전대) 전까지 당을 이끌 임시 지도부의 형태와 관련, 최근 중진 회동에서 의견이 모였던 비대위와 혁신위원회의 통합안을 선택하기로 합의했다.
특히 혁신비대위원장은 외부 인사로 영입하되 주류와 비주류가 합의한 인사로 최종 선정, 정 원내대표에게 제안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정 원내대표가 혁신비대위원장 후보에 동의하면 후보자를 전국위에 추천해 선출하게 된다.
혁신비대위는 당 혁신 및 전당대회 준비와 함께 현행 집단지도체제를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로 변경하는 당헌 개정안을 마련하는 임무를 맡는다.
정 원내대표와 김 전 대표, 최 의원은 이날 회동에서 5~6명의 혁신비대위원장 후보감을 놓고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원내대표는 회동에서 논란이 됐던 혁신위원장과 비대위원 선임 과정에 대해 소상히 설명했고, 김 대표와 최 의원은 "세간에 돌아다닌 얘기로 인해 생겼던 오해와 억측을 대부분 씻어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또 "당내에서 더는 친박과 비박 이야기가 돌아다녀서는 안 된다"면서 "두 분이 손을 잡고 '계파 해체 선언'을 해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대표와 최 의원은 이에 대해 즉답을 하지는 않았지만 상당한 공감을 표했다는 후문이다.
이 관계자는 "세 분이 앞으로 당의 현안을 허심탄회하게 논의하기로 했고, 당을 조속히 안정화하고 박근혜 정부의 성공을 위해 당의 단합을 도모하도록 노력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