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래픽제공 = 통계청]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비정규직 근로자가 615만명에 달했다. 여성과 고령층의 시간제 일자리 취업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비정규직 평균 월급은 정규직의 절반 수준에 머물렀으며 특히 정규직의 경우 1년 전보다 12만원 가량 늘어난 반면 비정규직은 4만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 비정규직 근로자는 615만6000명으로 1년 전보다 14만4000명(2.4%) 늘었다.
임금근로자 가운데 비정규직이 차지하는 비중은 32.0%로 1년 전과 같았다. 비정규직 비중은 2011년 33.8%까지 올랐다가 작년까지 감소세를 이어왔다.
비정규직 중 시간제 일자리가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1주일에 36시간 미만 일하는 시간제근로자는 222만2000명으로 1년 새 13만1000명(6.2%) 증가했다.
정부는 가사와 일을 병행하려는 여성, 여가·건강 등을 이유로 파트타임을 희망하는 고령자 등이 늘며 시간제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다.
기간제 등을 뜻하는 한시적 근로자는 357만7000명으로 16만명(4.7%) 증가했고, 파견·용역·특수고용 등 비전형 근로자는 213만8000명으로 1만명(-0.5%) 감소했다.
올해 1분기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241만2000원이었다. 이중 정규직 임금은 283만6000원으로 4.5% 늘었지만 비정규직은 151만1000원으로 3.0% 증가에 그쳤다.
정규직 월급이 12만3000원 오르는 동안 비정규직은 4만4000원 올랐을 뿐이다.
이에 따라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절대 임금 격차도 벌어졌다. 지난해에는 124만6000원의 차이를 보였지만 올해에는 132만5000원의 임금 차이를 기록했다.
그러나 통계청이 성별·연령·교육수준·근속기간 등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배제하고 산출한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월평균 임금격차는 1년 전보다 1.4%포인트 줄어든 10.6%로 나타났다.
통계청 관계자는 "임금은 고용형태 외에도 성별, 경력, 학력, 근속기간, 근로시간 등 매우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라며 "모든 변수를 동일하게 놓았을 경우, 순수하게 고용형태 차이로 발생하는 정규직과 비정규간 임금격차는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계산된다"고 설명했다.
다만 비정규직의 사회보험 가입률과 근로복지 수혜율은 대체로 상승했다.
사회보험 중 건강보험(1.1%p)과 고용보험(0.5%p)은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 가입률이 올랐고 국민연금(-0.4%p)는 내렸다.
근로복지 중 퇴직급여 수혜율(0.8%p)과 시간외수당(0.8%p), 유급휴일(0.5%p)은 상승했지만 상여금(-0.7%p)은 하락했다.
평균 근속기간은 정규직이 7년5개월로 2개월 늘어난 반면 비정규직 근로자는 1년 전과 같은 2년5개월로 조사됐다.
일자리 형태를 '자발적 사유'로 선택한 비정규직 근로자는 57.2%로 작년 3월보다 8.2%포인트 상승했다. 구체적인 이유로는 '근로조건에 만족'한다는 응답이 48.9%에 달했다.
'직장이동이나 육아·가사 병행 등을 위해'라는 비율도 23.2%였다.
임금근로자의 노동조합 가입률은 12.3%로 1년 전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정규직은 0.4%포인트 줄어든 16.7%, 비정규직은 0.1%포인트 줄어든 2.8%였다.
임금근로자 중 지난 1년간 교육·훈련 경험이 있는 비율은 55.1%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8%포인트 올랐다.
임금근로자의 임금지불 형태는 월급제가 62.7%로 가장 높았다. 정규직은 월급제(70.5%), 연봉제(22.1%)가 대부분이었지만 비정규직은 월급제(46.1%)에 이어 일급제(20.6%)가 많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