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 평산 파출소 앞 공중전화부스에 전기차 급속충전기가 설치됐다. 환경부와 KT링커스는 내년에 20곳의 공중전화부스에 급속충전기를 설치할 예정이다. [사진제공=환경부]
아주경제 배군득 기자 = 그동안 활용방안을 찾지 못하던 공중전화부스가 전기차 급속충전소로 재사용된다. 정부는 매년 20곳 이상의 공중전화부스를 전기차 급속충전소로 전환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에 따라 전국에 설치된 3만여대의 공중전화부스가 새 활로를 찾게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공중전화부스 접근성이 대부분 대로변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전기차 사용자의 접근성도 좋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환경부는 KT링커스와 협력해 서울시 등 공중전화부스에 급속충전기 9기를 설치하고, 15일부터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설치한 9기는 서울시 3기, 대구시 3기, 순천시 2기, 성남시 1기 등이며 공중전화부스에 설치된 급속충전기 사용요금은 킬로와트시(kWh)당 313.1원이다. 이는 지난 4월 11일부터 시행한 공공급속충전기 유료화 요금과 동일하다.
환경부는 공중전화부스에 설치된 급속충전기 이용에 따른 주차요금은 별도로 부과되지 않도록 관할 지자체와 협의했다.
공중전화부스에 전기차 급속충전기를 설치하는 것은 지난해 서울시와 카셰어링 업체인 한카(전기차 124대 보유)가 협력해 서울시 공중전화부스 3개를 전기차 충전기로 개조해 사용한 전례가 있다.
한카에서 설치한 전기차 충전기는 완속충전기로, 충전에 3∼5시간이 소요됐다. 그러나 이번에 설치한 충전기는 급속충전기로, 충전에 25∼30분이면 가능하다는 게 환경부 설명이다.
환경부는 이번 조치가 전기차 대중화를 앞당길 것으로 보고, 내년부터 매년 20곳 이상의 공중전화부스에 급속충전기 설치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또 대형마트 등 충전기 이용이 편리한 장소에 급속충전기 설치를 늘리는 방안도 해당 지자체·업계 등과 협의하고 있다.
한편 환경부는 공공급속충전기 설치 이외에 전기차 구매자에게 대당 400만원 완속충전기 설치비를 지원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전국에 5405기 완속충전기가 설치됐다.
환경부 관계자는 “공중전화부스는 전국에 3만 여기가 설치됐다”며 “그 중 80%가 도로변 및 주거지역에 설치돼 접근성이 매우 양호하다”고 말했다.
급속충전소 설치지점은 ▲서울 마장동사무소 앞, 가산동 제일보직아울렛 건너편, 구로리공원 앞 ▲대구 성명맨션 앞, 평산파출소 앞, 홀마트 앞 ▲성남 중앙동 동양컴퓨터학원 ▲순천 역전시장, 조례동 대일학원 앞 등 9곳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