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국회 정무위원회 박용진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6월 원유 DLS에서 확정된 손실은 3178억원이다. 이는 작년 한 해 손실액(701억원)보다 4배나 많은 것이다.
원유 DLS는 원유 가격에 따라 손익이 결정되는 파생상품이다. 통상 가입 기간은 3년으로, 원유 값이 가입 당시보다 40∼50% 이상 하락하지 않으면 은행 예금보다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다.
하지만 원유 가격이 애초 설정된 기준치 아래로 하락할 경우 손실이 불가피한 고위험 상품이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2014년까지 배럴당 100달러를 넘겼지만, 지난 2월11일 26.21달러까지 추락한 바 있다. 현재는 배럴당 40달러에서 횡보하고 있다.
국제 유가가 배럴당 80∼90달러 선까지 회복하지 않으면 만기가 남은 원유 DLS에서 지속적으로 손실이 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지난 6월 말 기준 원유 DLS 발행잔액은 1조498억원에 달한다.
박용진 의원은 "투자 경험이 부족한 일반 투자자들에게 원유 DLS 같은 고위험 파생상품을 대량으로 판매한 곳은 우리나라밖에 없다"며 "단일 금융상품에서 수천억원의 손해가 발생한 만큼, 금감원이 불완전 판매 여부에 대해 전면적인 조사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