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병원, 카자흐스탄에서 원격의료사업 추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9-08 15:5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부산대학교병원은 KT와 부산테크노파크, 동남권원자력의학원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카자흐스탄과 디지털헬스케어 사업과 방사선 암치료기기 개발 추진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사진=부산대병원]


아주경제 이채열 기자 =부산대병원(병원장 이창훈)은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과 원격의료 사업의 발판을 마련했다.

부산대병원은 KT, 부산테크노파크, 동남권원자력의학원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카자흐스탄의 알파라비 카자흐스탄 국립대학교, 서카자흐스탄 주립의대, 악토베州 보건청 및 4개 유관기관과 '디지털헬스케어 사업과 방사선 암치료기기 개발을 추진하기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최고의 ICT기술이 집약된 한국형 모바일 건강 진단솔루션과 세계적 수준인 한국의 암치료 의료기술 지원을 통한 카자흐스탄 의료 환경의 개선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중앙아시아의 대국 카자흐스탄은 영아 사망률은 천 명 당 21.6명으로 OECD 평균인 4.1명을 크게 상회하며 기대수명은 70.3세로 OECD 평균인 80.5세에도 크게 못 미친다.

또한 카자흐스탄의 면적은 남한의 27배에 달하지만 병원은 1054개, 병상은 12만개에 불과해 의료시설이 부족해 인구의 40%가 지방에 거주하지만 의료인의 80%가 대도시에 집중되어 지역 간 의료수준의 불균형이 심각하다.

따라서 이번 사업으로 향후 원격의료 도입을 통해 카자흐스탄 현지의 열악한 의료환경 및 영아사망률의 개선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심혈관 질환, 암, 호흡기 질환 등 현지에 만연한 질병을 소량의 혈액과 소변으로 진단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진단솔루션을 카자흐스탄의 동부 알마티 소재의 알파라비 국립대학, 서부 악토베주립병원에 시범 설치할 예정이다.

측정된 건강 정보는 알파라비 국립대 내 설치 될 건강정보센터에 전송되며, 부산대학병원 의료진의 자문과 카자흐스탄 의료진의 부산대 의료연수 등을 통해 체계적으로 관리될 예정이다.

부산대병원 융합의학기술원 박익민 원장은 "단기적으로는 디지털 헬스케어의 지원이 되겠지만, 중장기적으로는 한국의 전자정보기록의 빅데이터화 기술이 CIS 연방국가에 진출하는 것으로 아직 건강검진과 의료정보체계가 미흡한 카자흐스탄으로서는 의료분야에서 획기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라고 전망했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이번 사업은 부산권역 의료기기 기업들의 해외시장 진출의 최적의 기회라 생각하며, 부산테크노파크의 기업지원 기능을 활용하고 지역의료기관 및 KT와 협력하여 중앙 아시아 및 CIS 국가 의료시장 진출을 위해 적극 추진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부산대병원과 KT, 부산시는 지난 2014년 3자 협약을 맺고 원양선원 대상 원격 건강 모니터링 플랫폼 개발 등 의료서비스 혁신을 위한 다양한 R&D를 진행하고 있다.

KT 미래사업개발단 단장 송재호 상무는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카자흐스탄 소외지역의 의료 환경을 개선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향후 러시아를 포함한 유라시아 경제연합 5개 국가로 원격의료시장을 확대하는 계기로 삼을 것"이라고 밝혔다.

Mutanov Galimkair Mutanovich(무타노프 갈림카이르 무타노비치) 알파라비 카자흐스탄 국립대학교 총장은 "한국형 디지털헬스케어의 도입은 카자흐스탄 의료보건의 난제인 영아사망률 감소, 의료사각 해소 및 의료산업 육성의 포석이 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