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아주경제 박성준 기자 =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7일 한일 정상회담에서 주한일본대사관 앞 위안부 소녀상 문제를 거론함에 따라 소녀상 철거문제가 다시 불거질 것으로 관측된다.
일본 언론에 의하면, 아베 총리는 정상회담에서 소녀상의 문제도 포함해 한일 위안부 합의의 실시를 부탁한 것으로 알려졌다.
작년 말 이뤄진 위안부 합의에서 소녀상 관련 내용은 "일본 정부가 주한일본대사관 앞의 소녀상에 대해 공관의 안녕·위엄의 유지라는 관점에서 우려하고 있는 점을 인지하고, 한국 정부로서도 가능한 대응방향에 대해 관련 단체와의 협의 등을 통해 적절히 해결되도록 노력한다"는 것이다.
일본은 지난달 말 위안부 지원재단 출연금 10억 엔을 송금함으로써 한일 합의에서 이행할 조치를 마루리 했다는 입장이다. 이에 한국도 소녀상 이전에 성의를 보여달라는 제스쳐로 해석된다.
한국 정부는 위안부 합의에 대한 평가가 엇갈리는 데다 '명예회복 및 상처 치유금'(생존자 1억원·사망자 경우 유족이 수령 2000만원)을 받지 않겠다는 피해자들이 있기에 소녀상 철거 문제가 쉽지 않은 상태다.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은 8일 기자회견에서 소녀상 이전 건에 대해 "(한국 정부의) 입장은 일관되고 명확하다"면서 "양국 외교장관이 합의(작년 12월 28일) 당시 발표한 것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