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이만희 의원(사진, 영천‧청도)이 4일 농촌진흥청으로 제출받은 국감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1년 이후 최근 5년간 농약으로 인한 사망자가 9258명에 달했다. 특히 농약 사망자 중 비(非)농업인의 비율은 6284명으로 67.8%로 조사됐다.[사진=이만희 의원실 제공]
아주경제 석유선 기자 = 최근 5년간 하루 3명꼴로 농약 자살자가 발생하고 있지만, 구매자정보 미기록 적발 건은 거의 없는 등 관계 당국의 관리단속이 허술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이만희 의원(사진, 영천‧청도)이 4일 농촌진흥청으로 제출받은 국감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1년 이후 최근 5년간 농약으로 인한 사망자가 9258명에 달했다. 특히 농약 사망자 중 비(非)농업인의 비율은 6284명으로 67.8%로 조사됐다.
현재 정부는 비농업인의 높은 자살율로 인해 농약 구매 시 개인 정보 기입을 의무화 하고 있지만, 최근 5년간 구매자 정보 미기록으로 적발된 건은 2013년 단 1건에 불과했다.
이만희 의원은 “꾸준한 단속이 아닌 일회성 단속이 의심된다”면서 “부정·불량농약 관련 신고자에게 보상금이 지급되는데, 최근 5년 간 보상금을 지급받은 신고자도 연 평균 5명에 불과해 홍보 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더 큰 문제는 농약 구매자정보 미기록 사실이 드러나도 과태료가 부과도 미미하고 대부분 경고에 그치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5년간 총 568건 중 과태료가 부과된 경우는 16건에 그쳤다.
이 의원은 “매년 농약에 의한 자살 및 인명사고가 반복되고 있으나 농약관리 주무 기관인 농진청의 대응은 미흡하다”며 “특히 비농업인의 사망사고 비율이 높다는 것은 농약의 유통 관리가 그만큼 허술하다는 뜻”이라며 강력한 처벌과 동시에 신고포상금 제도 활용을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