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경제 김혜란 기자 =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8일 새누리당과의 '최순실 특검' 협상 중단을 선언했다. 새누리당이 특별검사제 도입 논의 과정에서 박근혜 대통령에게 특검 추천권을 부여하는 상설특검을 고집하자 여당의 진상 규명 의지가 부족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추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새누리당이 한마디 사과 없이 협상장에 나와서 박근혜 대통령에게 특검을 임명하라는 코미디같은 이 상황을 보고 국민이 다시 분노하고 있다"며 "민주당은 새누리당과 벌이는 모든 협상을 다시 생각해보겠다"고 말했다.
추 대표는 "3대 선결조건이 이뤄져야 협상을 생각해보겠다"며 △새누리당의 대국민 석고대죄 △우병우 민정수석의 사퇴 △최순실 부역자의 전원사퇴를 선결조건으로 내걸었다. 그는 "청와대와 정부와 집권 여당이 먼저 사죄하는 마음으로 국민의 상처를 이해하고 국정 위기를 수습하겠다는 자세를 보인다면 그때 새누리당과 마주하고 국정 정상화를 논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렇게 해서 청와대와 정부와 집권당이 먼저 사죄하는 마음으로 국민의 상처를 이해하고 국정 위기를 수습하겠다는 자세가 보인다면 우리는 적극적으로 새누리당과 마주하고 정국 정상화에 협조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추 대표는 또 최순실 게이트의 핵심 당사자인 박 대통령의 책임론에 불을 지피며 공세를 강화했다.
그는 "'최순실-박근혜'의 국정 유린 사건으로 국가가 비정상 상태가 됐다"며 "대통령의 정치적, 도덕적 권위는 상실됐다. 헌법상 형사상 현직 대통령은 불소추 특권이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사태에 대한 대통령의 행정적 책임은 엄중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래서 국민적 조사 요구도 봇물처럼 터지고 있고, 심지어 국민은 대통령이 하야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심정"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여전히 문제 핵심인사들이 큰소리를 치면서 국정을 쥐고 있다"며 "국정의 맥을 쥐고 있는 우병우 민정수석이 책임감 운운하며 청와대 비서진의 사퇴를 가로막고 허수아비 총리가 장관 모아 국정정상화를 위한 간담회를 갖고 있다"며 청와대의 쇄신 의지가 부족하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추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새누리당이 한마디 사과 없이 협상장에 나와서 박근혜 대통령에게 특검을 임명하라는 코미디같은 이 상황을 보고 국민이 다시 분노하고 있다"며 "민주당은 새누리당과 벌이는 모든 협상을 다시 생각해보겠다"고 말했다.
추 대표는 "3대 선결조건이 이뤄져야 협상을 생각해보겠다"며 △새누리당의 대국민 석고대죄 △우병우 민정수석의 사퇴 △최순실 부역자의 전원사퇴를 선결조건으로 내걸었다. 그는 "청와대와 정부와 집권 여당이 먼저 사죄하는 마음으로 국민의 상처를 이해하고 국정 위기를 수습하겠다는 자세를 보인다면 그때 새누리당과 마주하고 국정 정상화를 논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렇게 해서 청와대와 정부와 집권당이 먼저 사죄하는 마음으로 국민의 상처를 이해하고 국정 위기를 수습하겠다는 자세가 보인다면 우리는 적극적으로 새누리당과 마주하고 정국 정상화에 협조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추 대표는 또 최순실 게이트의 핵심 당사자인 박 대통령의 책임론에 불을 지피며 공세를 강화했다.
그는 "'최순실-박근혜'의 국정 유린 사건으로 국가가 비정상 상태가 됐다"며 "대통령의 정치적, 도덕적 권위는 상실됐다. 헌법상 형사상 현직 대통령은 불소추 특권이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사태에 대한 대통령의 행정적 책임은 엄중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래서 국민적 조사 요구도 봇물처럼 터지고 있고, 심지어 국민은 대통령이 하야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심정"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여전히 문제 핵심인사들이 큰소리를 치면서 국정을 쥐고 있다"며 "국정의 맥을 쥐고 있는 우병우 민정수석이 책임감 운운하며 청와대 비서진의 사퇴를 가로막고 허수아비 총리가 장관 모아 국정정상화를 위한 간담회를 갖고 있다"며 청와대의 쇄신 의지가 부족하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