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9일 서울 그랜드 하얏트호텔에서 열린 주한미국상공회의소 오찬 간담회에 참석, '美 대선 이후 한국의 통상정책 방향'이라는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사진제공 = 산업통상자원부]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9일 국내에 진출한 미국 기업인을 상대로 최근 재협상 논란이 불거지고 있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의 성과를 강조하며 홍보를 당부했다.
주 장관은 이날 서울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열린 주한미국상공회의소(AMCHAM) 간담회에 참석, '트럼프 신정부와의 새로운 경제협력 방안'을 주제로 연설했다.
주 장관은 "그간 한미 경제·통상 관계는 한미 FTA를 플랫폼 삼아 상호 호혜적인 성과를 창출했다"며 "미국 신정부 출범을 계기로 이를 지속 심화·발전시켜야한다"고 밝혔다.
그는 "한미 FTA는 협상시점부터 양국 간 이익균형을 이뤘다"며 "세계 교역 침체 속에서도 지난 5년간 교역·투자, 일자리 창출 등에서 긍정적인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이어 "한미 FTA의 성실한 이행에 중점을 두면서 양국 간 규제협력 대화 등을 통해 미국과 협의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는 제임스 김 암참 회장, 존 슐트 암참 대표,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 대사를 비롯해 100여명의 기업인이 참석했다.
주 장관은 트럼프 신정부의 정책 방향을 고려할 때 양국 간에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가 창출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 1조 달러 인프라 투자 공약 관련 도로·교량·전력 시설 현대화 작업 △ 전통제조업 육성 전략에 따른 자동차·가전 분야 △ 석유, 셰일가스 등 전통에너지 개발 정책 분야 등을 새로운 협력 대상으로 제시했다.
주 장관은 "4차 산업혁명에 따라 진행될 한미 간 새로운 분업구조로 양국 간 투자기회도 확대될 것"이라며 "외투 기업의 투자 환경 개선을 위해 규제 개선, 고용 유연화를 추진하는 등 친비지니스 환경 조성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진행된 암참 회장과의 대담에서는 "한미 FTA를 중심으로 양국 경제·통상 관계가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암참이 적극적으로 미국과의 메신저 역할을 해달라"고 한미 FTA 홍보를 요청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