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가운데), 국민의당 김동철 비상대책위원장(왼쪽), 정의당 심상정 상임대표가 13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야3당 대표 회동에 앞서 인사를 나누고 있다. [남궁진웅 기자, timeid@ajunews.com]
아주경제 김혜란 기자 = 야 3당이 13일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에게 회동을 제안하며 '여·야·정 협의체'에 시동을 걸었다. 하지만 정부와 거대 야당의 마찰이 불가피한 데다 야권이 새누리당 친박(친박근혜)지도부와는 대화하지 않겠다는 입장이어서 협의체가 순조롭게 운영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김동철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 심상정 정의당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만나 황 권한대행에게 회동을 제안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
야 3당 대변인은 회동 직후 브리핑에서 "야 3당은 황 권한대행의 권한 범위, 과도적 국정 수습 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해 정당 대표들과 황 권한대행 간 회동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이 자리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황 권한대행의 인사권 문제와 야당이 추진하는 사회 개혁, 재벌 개혁 방향을 담은 입법 등을 놓고 의견을 교환한다는 계획이다.
야 3당은 "황 권한대행은 한시적 과도대행 체제임을 분명 인식하고 국회 협의 없이는 일상적 국정 운영을 넘어서는 권한 대행을 해선 안 된다"고 경고하고 황 권한대행이 국회가 주도하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진상 규명과 사회 개혁 노력에 협력할 것을 촉구했다.
야 3당은 또 박근혜 정부의 적폐를 청산하고 사회 개혁을 이룰 입법 추진에도 적극적으로 공조키로 했다. 헌법재판소에는 국정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박 대통령 탄핵안 심판을 신속하게 진행해 줄 것을 당부했다.
윤관석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이번주 중에는 회동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14일 정세균 국회의장과 황 총리의 면담에 이어 야당과의 면담도 이뤄져 협의체가 본격적으로 가동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하지만 윤 대변인은 "현재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는 대표성을 확보하기 어려워 이번 회동에 참여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해 황 권한대행이 이를 빌미로 대화를 거부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황 권한대행과 정당 대표 간 회동이 성사된다 해도 박근혜표 정책을 두고 여야의 이견이 커 정치권이 협의를 통해 풀어낼 수 있을지도 불투명하다. 야당은 역사 국정교과서,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 배치 등 박근혜표 정책 전반을 재검토하겠다는 의지가 강하다.
야당이 추진하는 사회 개혁 법안·정책에도 성과연봉제 등 민감한 정책 등이 많다. 이날 민주당 정무위원회 의원들은 시중은행들이 12일 성과연봉제 도입을 기습적으로 의결한 데 대해 격앙된 반응을 보이며 임종룡 금융위원장의 사퇴를 촉구했다.
박용진·정재호 민주당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과 함께 기자회견을 열고 "최순실에 이어 황교안의 국정 농단이 다시 시작되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여·야·정 협의체 출범을 준비하는 가운데 정부가 박근혜표 정책을 야당이나 노동계와 상의 없이 강행한 데 대해 '협치' 의지가 없는 것으로 야권은 보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