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준 금리인상] '완화적 통화정책' 강조 한은, 내년은?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달 11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 참석해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제공]


아주경제 문지훈 기자 = 미국 금리 인상이 임박한 가운데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방향 변화 가능성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13일 한은에 따르면 그동안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결정한 뒤 줄곧 "경기회복세를 지원하기 위해 완화적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반복해왔다.

한은의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 유지에 대한 전문가들의 전망은 다소 엇갈리고 있다.

김정식 연세대 교수는 "경제 성장률이 둔화하고 있어 완화적 정책을 쓸 필요가 있지만 미국의 금리 인상과 국내 가계부채 문제 등을 고려하면 추가적인 완화 정책을 쓰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다.

가계부채가 1300조원을 돌파했고 미국의 금리를 인상하는 상황에서 자본 유출 등을 고려하면 한은이 통화정책 완화기조를 유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하기 어렵지 않겠냐는 것이다.

그는 "금리를 인하하더라도 기업 투자나 소비가 늘어나는 효과가 크지 않아 기준금리 동결 기조를 이어갈 수 있을지는 몰라도 인하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반대로 한은이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하는 시각도 있다.

이창선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내수를 비롯해 대외 여건도 국내 경제에 호조로 작용할 만한 요소가 잘 보이지 않는다"며 "통화정책도 경기 상황에 초점을 맞출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내년 경제성장률은 올해보다 더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수출 여건이 나빠지고 대내적으로 투자 부진을 비롯해 소비 역시 회복하길 기대하기 어렵다"고 전망했다.

대내외 여건을 감안할 때 한은의 통화정책 운신의 폭이 좁은 상황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안동현 자본시장연구원장도 "현재 한은의 통화정책 운신의 폭이 없는 상황이라고 본다"며 "내년 경제 전망이 좋지 않아 완화정책을 유지하고 싶겠지만 저금리가 가계부채 증가의 한 원인으로 작용한 만큼 금리를 낮추기엔 부담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성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선임연구위원 역시 "미국의 금리 인상도 예정돼 있고 가계부채 및 거시건전성 측면에서 기준금리 인하는 부담스러울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가운데 전문가들은 미국의 금리 추가 인상 속도와 인상폭에 따라 한은의 통화정책 기조도 변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안동현 원장은 "미국의 금리 인상 횟수가 2~3회로 예상되는데 속도와 폭이 문제"라며 "예상보다 인상 속도가 빠르면 원·달러 환율을 비롯해 자본유출, 채권시장 등을 감안해 한은이 완화 기조를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식 교수 역시 "한은의 완화기조 유지는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에 달렸다"며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가 빠르면 한은도 내년 중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지만 가계부채 부실 우려 등으로 큰 폭의 인상은 힘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