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주남저수지 야생조류 AI 최종검사 "음성" 확인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12-13 16:0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경남도 축산진흥연구소 최종검사 결과 AI 바이러스 미검출

아주경제 이채열 기자 =경남도는 창원 주남저수지에서 지난 8일 발견된 큰고니 폐사체의 정밀검사 결과가 최종 "음성"으로 판정됐다고 13일 밝혔다.

경남도 축산진흥연구소는 폐사체 발견 당일 저녁 큰고니 폐사체 중간검사를 실시한 결과 '음성'으로 확인 했으며, 이날 AI 바이러스 '음성'임을 최종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도는 지난 2일 창녕 우포늪에서 발견된 철새 폐사체에서 고병원 AI가 검출된 이후 경남의 주요 철새도래지인 주남저수지에서 큰고니 폐사체가 발견되자, 방역조치를 한층 강화해 탐방객 출입을 전면 통제하면서 저수지 주변을 하루 2회 소독 하는 등 바이러스 유입 차단에 만전을 기해오고 있다.

이와 관련, 박석제 경남도 농정국장은 "주남저수지 철새 폐사체가 최종 음성으로 판정되었지만 철새를 통한 바이러스 전파 위험성은 여전하다"면서 "도내 전 시군 및 기관에서는 차단방역의 고삐를 늦추지 말고 철새도래지와 야생조류 서식지에 대한 모니터링을 한층 강화하여 발생 위험성을 사전에 막아내자"고 강조했다.

또한 "농가단위별 차단방역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인식하고 축사별 출입시 별도의 장화와 의복을 착용하고 소독, 그물망 설치 등 야생조류의 분변이 축사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축산농가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특히, 경남도는 지난 2일 발견된 창녕 우포늪 큰고니 폐사체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5N6)가 검출된 이후 경남도내 야생철새 도래지와 인근 농가에 대한 선제적 방역활동을 추진하여 가금농가의 AI 발생을 막아내기 위해 혼신을 다하고 있다.

현재 전국의 고병원성 AI 발생은 12일 기준으로 6개 시도 43농가에서 발생해 살처분 가축수는 890만 수에 이르고, 향후 발생과 살처분이 더욱 증가해 피해는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큰고니가 발견된 시점에서 신속한 초동방역조치를 취하기 위해 축산산진흥연구소에서 검사를 하게 되었으나 환경부의 '야생조류 폐사체 AI 검사관련 협조' 요청에 따라 시료가 시군에 접수되는 즉시 발견지를 중심으로 소독 등 초동방역은 축산담당부서에서 실시하고 검사는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실시하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