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태희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이 2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에너지정책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 = 산업통상자원부]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우태희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20일 "원전 핵심설비의 내진 성능을 장기적으로는 최대지반가속도(g) 기준 0.6g(규모 7.5 상당)으로 상향할 것"이라고 밝혔다.
우 차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에너지정책 정례브리핑을 열고 이같이 밝힌 후 "이를 위한 연구개발(R&D) 착수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내진설계값 단위인 최대지반가속도(g)는 원전 건물에 미치는 실제 지진의 힘을 말한다. 진앙에서 발생한 규모가 아니라 원전부지에서 감지되는 지진력으로, 전문가마다 다소 차이가 있기는 하나 통상 0.1g이면 지진 규모 6.0안팎이 된다.
앞서 정부는 지난 16일 내놓은 '지진방재 종합대책'에서 현재 가동 중인 원전의 핵심설비를 2018년 4월까지 0.3g(규모 7.0) 수준으로 보강하고, 건설 예정인 원전 핵심설비는 0.5g(규모 7.4) 수준을 확보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아직 우리 기술로는 0.6g 수준의 내진 성능을 갖추기는 부족한 상황이다.
우 차관은 "아직 기술이 없어서 빨리 R&D에 착수해 개발하려고 하는 것"이라며 "다음 달 내진 성능 보강을 포함한 '에너지시설 내진 안전 종합대책' 세부 이행계획을 수립하고 내년 중 내진 기준(안)과 관련 규정 정비를 완료하겠다"고 설명했다.
우 차관은 전력·가스 수요가 많아지는 동절기 에너지 수급대책에 대해서도 발표했다.
최근 기온 하강으로 전력수요는 7800만kW까지 늘었다. 이는 지난달 전력수요 7410만kWh보다 5.6% 증가한 수치다.
다만 발전기 신규준공 등의 영향으로 공급능력이 9300만kW로 수요를 웃돌고 있어 수급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예비력은 800만∼1030만kW(예비율 9∼15%) 정도며 피크인 1월 2∼3주에는 원전 재가동으로 인해 예비력이 1403만kW(예비율 16.4%)로 오히려 늘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이상기온, 발전소 고장 등 비상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정부는 위기대응 가용자원 595만kW를 확보해뒀다.
또 비상시에는 정부 비축탄을 방출하거나 발전용 무연탄을 연탄용으로 전환할 방침이다.
우 차관은 "겨울철 전력·가스·석연탄 수급은 안정적일 전망이고 비상상황을 대비한 수급도 충분하다"며 "이상징후를 사전에 포착하기 위한 상시 점검을 추진하고 비상시에는 분야별 비상대책반을 구성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겨울철 에너지 절약을 위해 내년 2월까지 '문 열고 난방영업' 자제를 홍보·계도한다.
다음 달 중에는 협회, 시민단체, 한국에너지공단과 함께 백화점·대형마트 등 에너지 사용량이 많은 매장을 대상으로 실내 난방온도 점검에 나설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