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정한파' 맞닥뜨린 삼성, 긴장감 최고조

[사진=아주경제 DB]


아주경제 박선미 기자 = 삼성그룹의 긴장감이 최고조에 올랐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를 파헤칠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본격 수사 착수와 동시에 삼성을 첫 타깃으로 잡았기 때문이다.

재계 안팎에서는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다 태우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현재까지 드러난 정황은 근본 책임이 박근혜 대통령과 그 측근들에게 있다는 점이 주장의 근거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21일 "이미 12월은 다 지나갔다고 해도 내년 1월부터 국내외 주요 일정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막막하다"며 "과도한 압박으로 삼성 등 국내 주요 그룹의 기업활동이 위축되서는 안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긴박감 도는 삼성 서초사옥

이날 오전 특검은 국민연금관리공단 기금운용본부와 보건복지부 연금정책국에 대한 압수수색을 벌였다. 지난해 삼성물산-제일모직 간 합병에 국민연금이 찬성한 것과 관련, 삼성과 국민연금 간 거래가 있었는지를 조사하겠다는 의도다.

삼성 서초사옥은 일단 압수수색을 받지 않았다. 지난달 검찰조사 과정에서 세 차례나 압수수색을 거쳤다. 

매주 수요일마다 여는 사장단협의회는 이날 정상적으로 진행됐다. 다만 침울한 분위기는 그 어느 때보다 짙었다. 사장단 일부는 기자들에게 송년 인사를 건네기도 했지만 긴장감이 맴돌았다. 특히 특검 수사와 관련한 질문에는 아예 입을 닫아 버렸다.

지난 19∼20일 사전조사를 받았던 박상진 삼성전자 사장과 장충기 삼성 미래전략실 차장(사장)은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삼성 관계자는 "특검의 강도가 일반 조사보다 3~4배는 더 센걸로 안다"며 "조속히 수사가 마무리되기를 바랄 뿐이다"고 말했다.

◆경영시계 올스톱·브랜드이미지 추락 불가피

삼성이 가장 우려하는 것은 '낙인'이다. 국내 여론에서는 삼성 등 대기업들이 국정농단의 공범이라는 인식이 파다하다.

이미 이재용 부회장을 비롯해 재계 총수들은 국회청문회에서 의원들의 막말과 호통에 고스란히 죄인 취급을 당했다.

여기에 출국금지령까지 내려지면서 그간 이 부회장이 쌓아왔던 '글로벌 네트워크'도 차단된 상태다.

특히 이 부회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식에 초청을 받았지만 출금에 따라 참석은 미지수다.

특검이 진행되는 석달 간은 미국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예상되는 무역환경 등 시장변화에 대한 대응이 더딜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불확실성의 끝이 보이지 않는 점도 걱정거리다. 사장단 인사 및 내년도 사업계획 수립 등 경영스케줄이 줄줄이 미뤄지고 있다. 연초마다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열렸던 시무식 역시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연말 행사 중 유일하게 삼성전자 글로벌 전략회의만 19일부터 사흘간 열렸다. 목표를 설정하는 회의이기 때문에 인사와 상관없이 진행됐다고 하지만 예년처럼 적극적인 전략을 짜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