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전국 2400여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2017년 1분기 경기전망지수(BSI: Business Survey Index)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분기(86) 대비 18포인트 급락한 68로 집계됐다고 9일 밝혔다.
이는 외환위기 직후 체감경기가 낮았던 1998년도(61~75)와 비슷한 수치다. 대한상의 BSI는 100 이상이면 이번 분기보다 다음 분기에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은 것이고, 100 미만이면 그 반대다.
체감경기가 악화된 이유에 대해 응답기업들은 대내적 요인으로 ‘정치갈등에 따른 사회혼란’(40.0%), ‘자금조달 어려움’(39.2%), ‘기업 관련 규제’(31.6%), ‘소득양극화’(10.8%) 등을 꼽았다. 대외적 요인으로는 ‘중국 성장률 둔화’(42.4%), ‘전 세계 보호무역주의 확산’(32.3%),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금융여건 악화’(28.4%), ‘환율변동성 확대’(24.0%·이상 복수응답) 등을 꼽았다.
대한상의는 “수출과 내수 동반침체로 2010년 18.5% 수준이던 제조업 매출증가율이 지난해 마이너스 3.0%까지 떨어졌다”며 “미국 금리인상, 중국의 성장 브레이크 등이 자금난으로 이어지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이미지=대한상의 제공]
향후 전망이 밝지 못하다 보니 기업들은 올해 경영방침으로 보수경영을 펼치거나 군살을 뺄 계획인 것으로 파악됐다. 제조업체의 절반가량(50.6%)은 ‘보수경영’ 기조를 밝혔다. 이들 기업 중엔 ‘현 상태로 사업을 유지’(65.1%)하겠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기존사업 구조조정’(17.5%), ‘대외리스크 관리’(17.4%) 등이 뒤를 이었다.
취업문도 지난해보다 더 좁아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보다 채용을 늘릴 계획이라는 기업은 27.7%에 불과했다. 기업들의 49.6%는 ‘지난해보다 채용을 비슷하게 유지하거나 줄일 계획’이라고 밝혔고 채용계획을 세우지 못했다는 기업도 전체의 22.7%에 달했다.
기업들은 올해 시급한 정책과제로 ‘소비심리 회복’(55.7%)을 손꼽았다. 이어 ‘금융시장 안정화’(41.6%),‘정치갈등 해소’(36.3%), ‘규제개선’(33.0%)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