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바른정당 정책연대협의체 출범…국당 호남계 다시 반발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정책연대를 통해 통합을 향한 첫걸음을 시작했다.

다만 국민의당 호남계 중진들이 바른정당과의 연대를 강하게 반대하고 있어 향후 행보에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29일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은 여의도 국회 내 의원회관에서 정책연대협의체를 공식 출범시키고 이날 첫 회의를 진행했다.

이날 국민의당에서는 이용호 정책위의장과 권은희 의원이 참석했고, 바른정당에서는 김세연 정책위의장과 오신환 의원이 자리를 함께했다.

이들은 세부적인 정책 연대를 설명하기에 앞서 양당 간 화합과 이를 통한 시너지 효과를 설명하는 데 무게를 뒀다.

이날 이 의장은 모두 발언을 통해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은 노선에서 차이보다는 유사점이 많다”라며 “다당제 하에서 3당과 4당의 정책연대는 국회차원에서도 힘과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의장도 “중도개혁과 개혁보수를 기치로 건 국민의당과 바른정당 간 정책연대협의체를 출범시키게 된 것을 매우 뜻 깊게 생각한다”라며 “양당은 중도를 강화하고 개혁보수의 입장을 예산과 정책에 반영하는 정책연대에 힘을 모을 것”이라고 밝혔다.

오 의원과 권 의원도 양당의 연대를 환영했다. 오 의원은 “정책연대협의체 출범은 양 극단의 정치구조를 혁파하는 자리”라며 “양당 협의체는 정책 공조만이 아니라 민생을 챙기는 데 전력을 다하겠다”라고 강조했다.

권 의원도 “양당은 진보와 보수의 기득권을 모두 탈피해야 한다는 사명감 가지고 제3당을 다당제를 가치로 구현해 내겠다고 출범했다”라며 “개혁과 관련해 우리에게 주어진 소명을 다하기 위해 정책협의체 활동을 좀 더 활발하게 진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들은 이날 주요 현안으로 예산안 심사와 관련해 정부·여당의 중복·과잉·과속·선심성 예산, 재정건전성을 무시한 포퓰리즘 예산을 막고 민생 관련 예산을 확보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또 법안과 관련해서는 △규제프리존법 △창업자수성가법 △방송법 △국회법 △만18세 선거권법△지방자치법과 국민체육진흥법 △특별감찰관법 △공공기관 낙하산 방지법(채용절차공정화법) 등의 통과를 위해 힘쓸 것임을 밝혔다

하지만 바른정당과의 공조에 반대하는 국민의당 호남계 중진들에 대한 설득은 해결해야 할 과제다. 

이날도 천정배 국민의당 의원은 “국민의당이 살 길은 평화와 개혁의 정체성을 분명히 세우는 것”이라며 개혁 보수를 표방한 바른정당과의 연대에 반대하는 뜻을 나타냈다.

같은 날 박지원 국민의당 의원도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안철수 대표는 통합 추진을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정책연대협의체를 양당 통합의 사전 단계로 인식하고 있어 향후 양당 공조가 통합까지 나아갈 수 있을지 미지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