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전없는 드론·거부반응 없는 인공장기…나노기술이 실현

  • 과기정통부, 제3기 국가나노기술지도 수립

[사진= 아주경제DB]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핵심 나노기술 육성을 위해 10개 관계부처와 공동으로 '제3기 국가나노기술지도(2018~2027년)'를 수립했다고 9일 밝혔다.

제3기 국가나노기술지도는 그동안 나노분야 연구방향 설정의 지표가 된 기존 나노기술 6대 분야 사전적 기술지도를 최근 기술 성장을 반영해 업데이트하고, 급변하는 미래사회를 대비해 우선 확보할 전략적 기술지도와 이를 실현할 실행 방안을 담고 있다.

전략적 기술지도는 미래사회 3대 목표로 △편리하고 즐거운 삶 △지구와 더불어 사는 삶 △건강하고 안전한 삶으로 정했다. 또 이들 목표에 대해 '나노기술로 구현하는 미래기술 30'을 선정하고 '미래기술 30' 실현에 필요한 상세 나노기술 로드맵을 마련했다.

미래기술 30에는 △속도 무제한 통신 환경 △충전없이 날 수 있는 드론 △인공나뭇잎 광합성 △5분 충전으로 서울에서 부산까지 가는 전기자동차△폭발 위험 없는 배터리 △거부반응 없는 인공장기 등이 포함됐다.

과기정통부는 '나노기술개발촉진법'에 따라 10개 관계부처와 협력해 매 5년마다 향후 10년의 나노기술 로드맵을 수립하고 있다. 제3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운영위원회에서 심의를 통해 확정했다.

김정원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국가나노기술지도는 기업이나 연구자들에게는 기술 방향을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이라며 "기술개발 전략을 제시하는 정책 수립자에게는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래기술 로드맵을 기준으로 하반기 예비타당성조사를 거쳐 신규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