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티슈진, 'TG-C' 美 임상서 안전성·유효성 입증

코오롱티슈진이 25일 인천 연수구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국제골관절염학회The OARSI 총회에서 골관절염 세포유전자 치료제 TG-C의 미국 내 장기추적 데이터 결과를 공개했다 사진코오롱티슈진
코오롱티슈진이 지난 25일 인천 연수구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국제골관절염학회(The OARSI) 총회에서 골관절염 세포유전자 치료제 'TG-C'의 미국 내 장기추적 데이터 결과를 공개했다. [사진=코오롱티슈진]

코오롱티슈진은 지난 24일부터 나흘간 인천 송도에서 열린 '2025 월드 콩그레스'에 참가해 골관절염 세포유전자 치료제 'TG-C' 안전성과 유효성을 입증했다고 27일 밝혔다.

월드 콩그레스는 국제골관절염학회(OARSI) 총회로 이날 발표는 'TG-C, 최초의 DMOAD(근본적 골관절염 치료제)1 획득 후보:세포 유전자 치료제의 장기 안전성과 무릎인공관절 수술 지연 가능성'을 주제로 진행됐다.

해당 연구는 미국 내 TG-C 임상 2상에 참여한 환자 33명을 포함한 110명의 2년 추적 임상 3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다. 임상 결과 안전성과 관련해 약 15년에 걸친 장기 추적 기간 TG-C와 연관된 종양 발생사례는 단 한 건도 확인되지 않았다.

특히 연령대별 미국 인구(SEER)의 평균 암 발생확률과 비교하면 TG-C 임상 참여환자들은 오히려 현저히 낮은 암 발생확률을 일관되게 보였다. 

유효성 측면에서도 미국 골관절염 환자의 평균 무릎 인공관절 수술 데이터와 TG-C 임상에 참여한 환자들의 무릎 인공관절 수술 데이터를 직접 비교했다. 

미국 국립보건원은 지난 11년간 골관절염 관련 데이터 수집을 위해 이른바 골관절염 프로젝트를 진행한 바 있다. 이 프로젝트에서 TG-C를 투여할만한 대상이 되는 환자들 595명을 따로 선정해 분석한 결과 이 중 15.5%의 환자들이 골관절염 발병 이후 평균 5.1년 만에 무릎 인공관절 수술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TG-C 임상 3상에 참여해 무릎 인공관절 수술을 받은 환자의 비중은 7.0%에 불과했고 수술을 받은 환자들도 발병 이후 수술 시기까지 기간이 5.7년으로 늘어났다. 다시 말해 TG-C가 무릎골관절염 환자들의 인공관절 수술을 대체하거나 최소한 수술 시기를 늦추는 효과를 데이터로 확인한 만큼 세계 최초 골관절염 근원치료제(DMOAD)로 인정받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 셈이다.

노문종 코오롱티슈진 대표는 "TG-C의 의미 있는 데이터를 소개하게 돼 기쁘고, 이번 발표로 TG-C의 미국 내 품목허가 가능성에 대한 기대를 더욱 높이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