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의 한 부속건물에서 미·중 고위급 대표단이 무역협상을 벌이고 있다. [사진=AP·연합]
26일(현지시간) 로이터, CNBC 등 외신에 따르면 소니 퍼듀 미국 농림부 장관은 무역 협상팀이 중국에 에탄올 관세를 낮춰달라고 요청했지만 중국은 아직 이에 대해서 구체적인 답변을 내놓지 않은 상태라고 밝혔다.
퍼듀 장관은 "그들(중국)은 대화에 참여하고 있고, 우리(미국)의 이야기를 듣고 있지만 그들이 어느 선까지 이를 수용하려 하는지 분명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중국은 그간 미국의 에탄올 수출의 20%를 차지한 세 번째로 큰 시장이었다. 하지만 미·중 무역전쟁이 격화되자 중국의 미국산 에탄올 수출량이 급감했다. 특히, 2017년 중국은 미국산 에탄올에 30% 관세율을 부과했고, 지난해에는 트럼프 행정부의 알루미늄 및 철강 관세에 대한 보복으로 에탄올 관세율을 45%로 올렸다.
중국이 미국의 요구를 들어준다면 미국의 에탄올 공급업체는 내년까지 중국이 진행하고 있는 '에탄올 10% 혼합연료(E10) 달성' 목표로 인해 득을 볼 수 있다고 CNBC는 분석했다. 중국이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매년 1500만톤의 에탄올을 공급받아야 하기 때문. 현재 중국 에탄올 생산량(300만톤)의 7배에 달한다.
매체는 성사된다면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는 2020년 재선 가도에 표심을 잡을 수 있는 호재를 확보하는 셈이다. 미국 농업지대, 이른바 '팜벨트(farm belt)'는 보수성향이 강한 공화당의 텃밭이다. 2016년 대선에서도 전폭적으로 트럼프를 지지했다.
지난해 트럼프 대통령은 중간 선거를 앞두고 아이오와 주민의 표심을 잡기 위해 바이오에탄올 연료 권장 정책을 발표한 바 있다. 아이오는 공화당의 주요 지지 기반인 농촌 지역이자 에탄올을 최대 산지로, 최근 중국과의 무역전쟁에서 대두에 대한 중국의 보복성 관세 부과로 피해를 본 지역이다.
한편, 미·중 무역전쟁은 양국 정상 간 최종 담판을 통해 봉합될 전망이다. 지난 24일(현지시간) 양국 정상은 고위급 무역협상이 끝난 뒤 지식재산권 보호와 기술이전, 농업, 환율 등 분야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고 밝혔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3월 2일부터 2000억 달러(약 223조3800억원)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추가관세 부과를 연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