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경기 기대감 5개월 만에 반등

  • 중기 지원정책‧계절적 요인 영향

  • 전년동월보다는 하락…경기상황 기대‧우려 혼재

[사진= 중기중앙회 제공]


중소기업 경기전망지수가 5개월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정책에 대한 기대감과 신학기 도래 같은 계절적 요인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경기전망을 여전히 부정적으로 보는 중소기업이 많아 기준치를 밑돌았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이달 15일부터 21일까지 315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9년 3월 중소기업경기전망조사’ 결과, 업황전망 경기전망지수(SBHI)가 전월대비 10.3포인트 상승한 86.6%를 기록했다고 27일 밝혔다.

SBHI는 100을 기준으로 높으면 긍정적으로 응답한 업체가 그렇지 않을 것으로 보는 업체보다 많음을 의미한다. 100보다 낮으면 그 반대다.

지난달 SBHI는 76.3으로 2015년 2월 통계작성 시작 이래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중기중앙회는 3월 SBHI가 두자릿수 증가를 기록한 건 △지난달 기저효과 △최저임금 인상 및 경기부진 관련 정부 지원정책 △지자체 사회간접자본(SOC) 사업 뉴스 △신학기 도래 등 계절적 요인 등으로 분석했다.

그러나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하면 SBHI는 4포인트 감소해 향후 경기상황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혼재돼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부문별로 제조업의 3월 경기전망은 전월보다 13.6포인트 상승한 88.7, 비제조업은 8.6포인트 상승한 85.6으로 조사됐다. 건설업(5.3포인트 상승), 서비스업(9.3포인트 상승) 등 전 영역에서 전월대비 반등했다.

업종별로도 제조업 22개, 비제조업 10개 업종에서 모두 반등에 성공했다. 항목별로는 고용수준전망을 제외한 내수판매‧수출전망‧영업이익‧자금사정 전망 등의 항목이 모두 상승했다.

중기중앙회는 “제조업에서 자금사정‧고용전망을 제외하면 평균치를 소폭 상회하고 있다”며 “그러나 비제조업은 여전히 평균치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