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 2배 이상, 주의 필요

  • 질병관리본부,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수칙 안내

봄철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가 2.2배 이상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는 2004년부터 2016년까지 보행자 교통사고로 병원에 입원한 환자 현황(170개 병원 기록 조사)과 손상 발생 요인을 조사해 분석한 결과를 5일 발표했다.

해당 기간에 보행자 교통사고로 입원한 손상 환자 수는 5만8475명에서 5만3057명으로 감소했다. 12세 이하 어린이 보행자 사고로 입원한 환자도 1만4284명에서 3798명으로 감소했으나, 성인에 비해서는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2012년부터 2016까지 연령별 전체 교통사고 중 보행자 교통사고로 입원한 환자 비율에서도 성인 14.3%에 비해 어린이가 2.8배 더 높은 40.4%로 나타났다.

어린이 보행자 사고는 봄철(3~5월)에 증가했으며, 특히 2-3월에 큰 변동률(2.2배)을 보였다.
 

[자료=질병관리본부]

손상 발생 요인을 조사하는 응급실심층조사 분석 결과에 의하면,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간은 오후 15-17시(36.2%)이고, 발생 장소로는 도로(85.3%), 특히 차도‧횡단보도(57.8%)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질병관리본부]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사업 운수사고 심층 분과장인 이강현 연세대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교통약자인 어린이는 교통사고 발생 시 사망위험이 크고, 부상 시 육체적·정신적 후유장애가 남을 가능성이 높다”며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보행자 보호정책과 보행자에 대한 안전교육의 중요성을 사회적으로 확산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봄철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가 증가하는 신학기를 맞아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학교와 가정에서 평소 어린이가 꾸준히 올바른 보행습관을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질본은 야외 활동이 많아지는 봄철을 맞아 보행자가 지켜야할 교통사고 예방 안전 수칙을 5일 안내했다.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수칙으로는 ▲길을 걸을 때 보도를 이용하고 보도가 없을 경우 길 안쪽으로 통행 ▲도로를 건널 때 항상 횡단시설 이용하고 방어보행 3원칙(서다‧보다‧걷다) 준수 ▲보행 중 주의력 저하시키는 다른 활동 자제 ▲운전자 가시거리가 좋지 않는 날에는 밝은 옷을 입어 자신의 위치를 알리기 등이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