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갑룡 경찰청장은 2일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의 ‘별장 성접대 의혹’ 사건과 관련해 “당시 수사담당자들이 전화를 받고 곤혹스러운 상황이었다”고 밝혔다.
민 청장은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당시 수사담당자들은 외압에 휘둘리지 않고 수사에 최선을 다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고 이혜훈 국회 정보위원장이 전했다.
경찰이 김 전 차관 사건 관련 외압 여부에 대한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민 청장은 경찰에 전화를 건 당사자가 청와대 관계자인지 여부는 확인해주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위원장은 브리핑을 통해 수사담당자에게 전화를 건 주체에 대해 “(민 청장이) 민정수석실이 전화를 걸었는지, 정무수석실이 전화를 걸었는지 밝히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민 청장은 “외압이 있었는지 없었는지에 대해서는 수사에서 밝혀주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에 대해 한국당 의원들은 비공개 회의에서 “왜 외압이 있을 수도 있었다고 해석될 수 있는 발언을 하느냐”며 민 청장에게 강력하게 항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또 “동영상과 피해자들의 진술 등을 감안할 때 이 정도면 충분히 혐의가 소명될 것이라는 판단으로 사건을 (검찰에) 급하게 송치했다”고 말했다.
이어 “피해자들이 김 전 차관과 (건설업자) 윤중천 등으로부터 합동 강간을 당했다고 진술해 그 진술을 기소 의견에 넣었다”면서 “피해자가 특수강간 당하는 것을 윤중천이 촬영했다는 진술도 있었다”고 덧붙였다.
또한 ‘2013년 3월 초에 경찰 고위 간부로부터 CD 동영상, 녹음테이프, 사진을 입수했다’는 박지원 민주평화당 의원의 주장에 대해서는 “(경찰 고위관계자가 누구인지)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수사라인에서 나간 적이 없다”고 답했다.
경찰은 “2013년 1월부터 범죄정보를 수집하다가 3월 18일 내사를 시작했다”면서 “수사를 담당하는 부서에서 같은 달 19일에 동영상이 흐릿한 CD를 확보했고, 5월 12일 선명한 동영상을 받았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민 청장은 이번 사안의 핵심 쟁점인 ‘청와대에 김 전 차관 관련 의혹을 보고했는지’에 대해선 “(3월 13일 김 전 차관 임명 이전에) 청와대에 범죄정보에 대해 이야기를 해왔다”는 기존의 입장을 반복했다.
이와 함께 경찰은 ‘버닝썬 사건’과 관련해선 “현직 경찰관 중에서 수사 대상자가 6명”이라며 “미성년자 출입사건 처리 과정에서 직무유기 혐의로 1명, 경찰청장 비호 의혹 관련 직권남용과 공무상 기밀 누설 등의 혐의로 3명, 성동경찰서 부실수사 관련 직무유기 혐의로 1명, 피의사실 공표 등의 혐의로 1명이 입건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경찰의 유착 의혹과 관련해 전직 경찰관 1명이 입건됐고, 현직 경찰관 가운데 내사 대상자가 2명이 있다. 인권위 진정사건 관련해서도 2명을 내사하고 있다”고 전했다.
민 청장은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당시 수사담당자들은 외압에 휘둘리지 않고 수사에 최선을 다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고 이혜훈 국회 정보위원장이 전했다.
경찰이 김 전 차관 사건 관련 외압 여부에 대한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민 청장은 경찰에 전화를 건 당사자가 청와대 관계자인지 여부는 확인해주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위원장은 브리핑을 통해 수사담당자에게 전화를 건 주체에 대해 “(민 청장이) 민정수석실이 전화를 걸었는지, 정무수석실이 전화를 걸었는지 밝히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 한국당 의원들은 비공개 회의에서 “왜 외압이 있을 수도 있었다고 해석될 수 있는 발언을 하느냐”며 민 청장에게 강력하게 항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또 “동영상과 피해자들의 진술 등을 감안할 때 이 정도면 충분히 혐의가 소명될 것이라는 판단으로 사건을 (검찰에) 급하게 송치했다”고 말했다.
이어 “피해자들이 김 전 차관과 (건설업자) 윤중천 등으로부터 합동 강간을 당했다고 진술해 그 진술을 기소 의견에 넣었다”면서 “피해자가 특수강간 당하는 것을 윤중천이 촬영했다는 진술도 있었다”고 덧붙였다.
또한 ‘2013년 3월 초에 경찰 고위 간부로부터 CD 동영상, 녹음테이프, 사진을 입수했다’는 박지원 민주평화당 의원의 주장에 대해서는 “(경찰 고위관계자가 누구인지)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수사라인에서 나간 적이 없다”고 답했다.
경찰은 “2013년 1월부터 범죄정보를 수집하다가 3월 18일 내사를 시작했다”면서 “수사를 담당하는 부서에서 같은 달 19일에 동영상이 흐릿한 CD를 확보했고, 5월 12일 선명한 동영상을 받았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민 청장은 이번 사안의 핵심 쟁점인 ‘청와대에 김 전 차관 관련 의혹을 보고했는지’에 대해선 “(3월 13일 김 전 차관 임명 이전에) 청와대에 범죄정보에 대해 이야기를 해왔다”는 기존의 입장을 반복했다.
이와 함께 경찰은 ‘버닝썬 사건’과 관련해선 “현직 경찰관 중에서 수사 대상자가 6명”이라며 “미성년자 출입사건 처리 과정에서 직무유기 혐의로 1명, 경찰청장 비호 의혹 관련 직권남용과 공무상 기밀 누설 등의 혐의로 3명, 성동경찰서 부실수사 관련 직무유기 혐의로 1명, 피의사실 공표 등의 혐의로 1명이 입건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경찰의 유착 의혹과 관련해 전직 경찰관 1명이 입건됐고, 현직 경찰관 가운데 내사 대상자가 2명이 있다. 인권위 진정사건 관련해서도 2명을 내사하고 있다”고 전했다.

민갑룡 경찰청장이 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업무보고를 하기위해 앉아 있다.[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