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미래당 소속 이혜훈 국회 정보위원장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김상균 국정원 2차장의 보고를 받은 뒤 브리핑을 통해 이렇게 밝혔다. 이 위원장은 "북한이 과거에 보면 괌 타격 계획을 발표하고 엄포 놓고 과격한 보도를 많이 했는데 이번엔 그러지 않고 '너희도 훈련하지 않느냐'는 보도 논조라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북한이) 대미 메시지 수위를 굉장히 조절하고 있는 것 같다"며 "영문판에서도 '그 어떤 세력이 자주권과 존엄, 생존권을 해치려 든다면 추호의 용납없이 반격하겠다는 표현을 삭제했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국정원은 지난 4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단거리 발사체를 관람할 당시 영접했던 인사가 포병국장이라는 점도 설명했다. 과거 ICBM 발사를 할 때에는 전략군 사령관 등이 영접했다. 이 위원장은 "(국정원이) 포병국장은 지위가 낮기 때문에 국내 방어용 군사훈련 목적이 좀 더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는 것 같다"고 했다.
이 위원장은 "미사일인지 아닌지 판단이 왜 오래 걸리냐고 했더니 (국정원이) '그게 제원이 뭔지, 항적거리가 어떻게 됐는지, 사거리가 어땠는지 등 분석할 게 너무 복잡하고 많아서 오래 걸린다'고 했다"며 "어떤 때는 몇 달도 걸린다는 입장이다"고 설명했다.
미사일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기준에 대해 국정원은 "인터넷에 다 있다"면서도 "그 기준으로 판단하는 여러 기술적 사안은 지금으로선 알 수가 없고 분석해봐야 한다. 그것도 한미가 같이 한다"고 했다.
국정원은 북한이 발사한 단거리 발사체가 지대지(地對地)라고 확인했다. 이 위원장은 이와 관련, "지대지는 공격용 아니냐고 했더니, (국정원이) 공격용인지 방어용인지 일률적인 얘기는 어렵다고 한다"고 했다.
국정원은 한미의 발표가 늦어진 게 이견 차 때문이 아니냐는 질문엔 "아니다"라고 답했다. 아울러 핵시설 움직임 등 북한의 추가 동향에 대해선 "없다"고 답했다.

정보위원장인 바른미래당 이혜훈 의원이 6일 오후 국회에서 김상균 국가정보원 2차장으로부터 북한 발사체 관련 보고를 받은 뒤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